[우리 아이 마음 읽기] “엄마 아빠와 떨어져 있을 때 가장 위험해요”

[우리 아이 마음 읽기] “엄마 아빠와 떨어져 있을 때 가장 위험해요”

이근아 기자
입력 2020-05-17 17:36
수정 2020-05-18 01: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아이들은 어떤 상황을 위험하다고 느낄까. 또 생활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처하는 방법을 얼마나 제대로 알고 있을까. 서울신문과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17일 전국공공형어린이집연합회 소속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7세 이하 어린이 44명에게 화재나 생활안전사고 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물었다. 그 결과 아이들의 시선에서 위험한 순간은 어른들의 생각보다 다양했다.

아이들이 하루 중 제일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순간은 다양했지만, 대부분 엄마나 아빠와 떨어져 있는 상황 자체를 위험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엄마와 아빠가 없는데 모르는 사람이 우리 집에 왔을 경우 그 사람이 나쁜 사람일까 봐 걱정되기 때문”, “엄마가 없을 때 길을 헤매게 돼 위험하기 때문”, “놀다가 다칠 수도 있는데 치료해 줄 수 없기 때문” 등의 이유였다. 김지윤(7·가명) 어린이는 “엄마와 아빠가 밖에 나갔다가 빨리 들어오지 않으면 혼자 있어야 해서 위험하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84% “부모님과 약속한 안전규칙 있다”

불에 대한 무서움도 있었다. 특히 부모님이 요리하는 상황이 위험하게 느껴진다는 응답이 눈에 띄었다. 심은비(7·가명) 어린이는 “엄마가 음식을 하다가 다른 것을 하면 불이 날 것 같다”고 대답했다. 아이들은 화재사고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뒤 위험성을 인지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65.9%(29명)의 아이들은 “불이 난 것을 본 적이 있다”고 답했고, 이들 중 40.9%(18명)는 텔레비전이나 유튜브 등을 통해 화재사고를 목격했다고 했다.

●위험 느끼는 순간 다양… 눈높이 교육 필요

대부분 아이들은 부모님과 약속한 안전규칙이 있다고 답했다. 안전규칙이 있다고 답한 84.1%(37명)의 아이들이 기억하는 안전규칙은 다양했다. “엄마와 아빠의 손을 잡고 다닌다”,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서는 뛰지 않는다”, “엄마가 없을 때 주방에 들어가지 않는다” 등이었다.

실제로 생활안전사고를 맞닥뜨렸을 때 대처법을 제대로 알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길을 잃어버렸을 때 가장 좋은 방법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지를 물었다. 그 결과 어린이들의 45.5%(20명)는 그 장소에 가만히 서 있는다고 답했다. 경찰서를 찾아간다(31.8%·14명), 주위의 어른들에게 도와달라고 말한다(18.2%·8명)는 답이 뒤를 이었다. 불이 났을 때의 대처법에 대해서는 절반인 50%(22명)는 “119에 신고해야 한다”고 답했고, 29.5%(13명)는 “크게 소리를 질러야 한다”고 답했다. “밖으로 나와야 한다”는 답변은 11.4%(5명)였다. 이에 대해 초록우산어린이재단 관계자는 “아이들이 위험하다고 느끼는 순간이 워낙 다양한 만큼 아이들의 시선에서 안전사고 예방 수칙을 기억할 수 있도록 알려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근아 기자 leegeunah@seoul.co.kr

서울신문·초록우산 어린이재단 공동기획
2020-05-1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