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22번째 코로나19 확진자인 전주여고 3학년 A(18) 양의 감염 경로가 파악되지 않아 보건당국이 애를 먹고 있다.
전북도는 “A 양의 진술, 휴대전화 위치 추적, 이동 동선 등을 토대로 역학조사를 했지만 감염원과 경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전북도 보건당국 관계자는 “A 양은 기존 확진자들과 동선이 겹치지 않는 데다, 증상 발현 2주 전부터 도내에만 머물러 동선에도 특이점이 없다”며 “역학조사를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건당국이 A 양에 대한 역학조사를 진행하면서 자가격리 대상은 86명으로 전날보다 46명이 늘었다.
이들은 A 양이 다녀간 전주 시내 룸카페 방문자로, 모두 ‘음성’을 받았지만 고위험 밀집지역에 있었기에 자가격리됐다.
떡볶이, 신발가게, 옷가게, 안경점에서의 접촉자 16명도 함께 ‘음성’을 받았지만, 자가격리 대상에서는 제외됐다.
이로써 A 양의 접촉자는 가족 3명, 전주여고생 890명, A 양이 다닌 미술학원 강사·학원생 69명 등 963명에서 1025명으로 늘었지만, 모두 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을 받았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전북도는 “A 양의 진술, 휴대전화 위치 추적, 이동 동선 등을 토대로 역학조사를 했지만 감염원과 경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전북도 보건당국 관계자는 “A 양은 기존 확진자들과 동선이 겹치지 않는 데다, 증상 발현 2주 전부터 도내에만 머물러 동선에도 특이점이 없다”며 “역학조사를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건당국이 A 양에 대한 역학조사를 진행하면서 자가격리 대상은 86명으로 전날보다 46명이 늘었다.
이들은 A 양이 다녀간 전주 시내 룸카페 방문자로, 모두 ‘음성’을 받았지만 고위험 밀집지역에 있었기에 자가격리됐다.
떡볶이, 신발가게, 옷가게, 안경점에서의 접촉자 16명도 함께 ‘음성’을 받았지만, 자가격리 대상에서는 제외됐다.
이로써 A 양의 접촉자는 가족 3명, 전주여고생 890명, A 양이 다닌 미술학원 강사·학원생 69명 등 963명에서 1025명으로 늘었지만, 모두 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을 받았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