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화상강의 말고 VR·AR 강의 27일 포항공대 전자전기공학과 LG연구동에 있는 가상(VR)·증강(AR)·복합(MR) 현실 겸용 강의실에서 한 학생이 기기를 쓰고 수업을 재현하고 있다. 이런 강의는 학생들과 실험 조교, 교수가 다른 공간에 떨어져 있어도 마치 한곳에 있는 것처럼 강의을 진행할 수 있다. 김욱성 포항공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위험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곳, 직접 체험할 수 없는 곳 등 다양한 콘텐츠를 시공간 제약 없이 눈앞에서 보듯이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1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젠 화상강의 말고 VR·AR 강의
27일 포항공대 전자전기공학과 LG연구동에 있는 가상(VR)·증강(AR)·복합(MR) 현실 겸용 강의실에서 한 학생이 기기를 쓰고 수업을 재현하고 있다. 이런 강의는 학생들과 실험 조교, 교수가 다른 공간에 떨어져 있어도 마치 한곳에 있는 것처럼 강의을 진행할 수 있다. 김욱성 포항공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위험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곳, 직접 체험할 수 없는 곳 등 다양한 콘텐츠를 시공간 제약 없이 눈앞에서 보듯이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1
27일 포항공대 전자전기공학과 LG연구동에 있는 가상(VR)·증강(AR)·복합(MR) 현실 겸용 강의실에서 한 학생이 기기를 쓰고 수업을 재현하고 있다. 이런 강의는 학생들과 실험 조교, 교수가 다른 공간에 떨어져 있어도 마치 한곳에 있는 것처럼 강의을 진행할 수 있다. 김욱성 포항공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위험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곳, 직접 체험할 수 없는 곳 등 다양한 콘텐츠를 시공간 제약 없이 눈앞에서 보듯이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1
2021-05-2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