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이 기간제, 수당은 별따기…그래도 목숨 거는 ‘특수진화대’

절반이 기간제, 수당은 별따기…그래도 목숨 거는 ‘특수진화대’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22-03-09 23:38
수정 2022-03-10 05: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산불 최전선서 사투 ‘숨은 영웅’
435명 중 275명이 1년 기간제
야간 출동 시간 외 수당 못 받아
“복지 나아지면 사명감도 클 것”

이미지 확대
강원 강릉·동해 산불에 투입된 산불재난특수진화대원들이 지난 8일 저녁 무렵 물을 뿌리며 불을 끄고 있다. 산림청 제공
강원 강릉·동해 산불에 투입된 산불재난특수진화대원들이 지난 8일 저녁 무렵 물을 뿌리며 불을 끄고 있다.
산림청 제공
“강원도 쪽은 산 지형이 가파르다 보니 바람을 타고 불의 방향이 급격하게 바뀌거나 나무에 걸려 있던 돌들이 굴러떨어질 때 아찔했습니다.”(나승표 산불재난특수진화대원)

이번 강원·경북 지역 산불 현장에서 목숨을 걸고 진화에 앞장선 이들이 있다. 바로 산불 진화의 ‘숨은 영웅’으로 불리는 산림청 소속 산불재난특수진화대다. 이들은 산불이 날 때마다 최전선에서 사투를 벌이지만, 절반 이상이 기간제인 데다가 시간 외 근무수당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9일 산림청에 따르면 현재 산불에 특화된 특수진화대로 전국에서 435명이 활동하고 있다. 전국 5개 본부(북부·동부·남부·중부·서부지방산림청)에 소속된 이들은 평시엔 산불감시 및 예방 활동을 하다가 산불이 나면 불을 진압하는 역할을 한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헬기가 진입하기 힘든 산속 깊은 곳까지 파고들어 화마와 싸운다.

강원 영월과 동해·삼척 산불 현장에서 진화작업을 벌인 나승표(48) 특수진화대원은 “불의 방향이 대원들을 등지고 산으로 올라가지 않고 바람을 타고 거꾸로 내려올 때가 가장 위험하다”며 “낙석의 위험도 커 안전에 신경을 많이 썼다”고 말했다. 그는 “마을 주민들이 준비한 라면과 지휘본부에서 제공한 식사로 배를 채우고 차에서 쪽잠을 잤다”고 전했다.

이처럼 특수진화대는 위험을 무릅쓰고 산불 현장에 투입되고 있지만, 복지나 급여체계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이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특수진화대원의 임금이 2017년부터 5년간 월 250만원으로 동결됐다는 점이 지적됐다. 또 초과근무 수당 예산이 없어 수당 지급 대신 특수진화대원들이 대체휴가를 내야 하는 실정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지난해 국감 지적 이후 월 5만~6만원 정도의 처우개선 항목이 추가됐지만 여전히 야간 출동 등에 대한 수당은 책정이 안 돼 있다”며 “대신 비가 오는 날이나 산불 위험이 덜하는 날 쉬는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특수진화대 435명 가운데 절반 이상인 275명이 1년 기간제로 나타났다. 산림청 관계자는 “전원 공무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예산이 필요하다”며 “기획재정부와 매년 협의하고 있지만 예산 확보에 소극적”이라고 전했다. 한 특수진화대원은 “앞으로 기후가 건조해지면서 산불 피해가 커질 수 있는 만큼 인력이 필요하다”며 “급여와 복지 여건이 나아지면 자부심과 사명감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2022-03-1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