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동안 통계조차 잡히지 않을 정도로 자취를 감췄던 ‘천수만 새조개’ 생산량이 해마다 늘고 있다.
충남도는 지난해 천수만 새조개 생산량은 73.1t으로 집계됐고, 올해 100t을 웃돌 것이라고 25일 밝혔다. 도내 새조개는 2003년 1156t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0년 7t, 2011년 1t을 기록하고 2012년부터 8년 연속 통계상 ‘0’을 기록했다. 9년 만인 2020년 25t이 잡혔다. 주로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채취한다.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 남기웅 연구사는 “남획과 해양오염으로 감소하다 거의 사라졌는데 새조개 치패를 방류한 게 효과를 봤다”고 말했다. 도는 2017년 새조개 모패 1만 4590패, 2018년 중성패 97만패에 이어 2019년부터 연구소에서 자체 인공부화한 치패 30만패, 지난해 50만패를 천수만에 각각 방류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가 최근 천수만 5개 지점에서 잡은 새조개 250패를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공동 개발한 유전자 분석 마커를 활용해 검사해보니 28%가 방류 치패와 일치했다. 연구소는 수조에서 어미 새조개가 산란해 부화한 유생이 2주 동안 물을 떠다니다 수조 바닥의 뻘 속으로 들어가 1~2개월 간 0.5~1㎝ 크기로 자라면 바다에 방류한다. 바다에서 1년 간 성장하면 껍데기 길이 7㎝의 어미로 자라 채취할 수 있다. 이번 유전자 검사에서 새조개가 자연성장할 때 생리적 특성과 해류 등 영향으로 방류지점 3㎞ 안팎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남 연구사는 “천수만 새조개가 전국 생산량에서 비중이 크지 않지만 남당항새조개축제와 수도권 접근성 등으로 이름이 났다”며 “음식점에서 껍데기 깐 것이 ㎏당 7만~8만원에 팔리는 고급 조개다. 천수만 수질도 2020년 2.75에서 2.5등급으로 서식환경이 좋아진 만큼 치패 방류에 더 적극 나서겠다”고 했다.
새조개. 충남도 제공
충남 천수만에서 어민이 형망으로 새조개를 잡고 있다. 충남도 제공
도 수산자원연구소가 최근 천수만 5개 지점에서 잡은 새조개 250패를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공동 개발한 유전자 분석 마커를 활용해 검사해보니 28%가 방류 치패와 일치했다. 연구소는 수조에서 어미 새조개가 산란해 부화한 유생이 2주 동안 물을 떠다니다 수조 바닥의 뻘 속으로 들어가 1~2개월 간 0.5~1㎝ 크기로 자라면 바다에 방류한다. 바다에서 1년 간 성장하면 껍데기 길이 7㎝의 어미로 자라 채취할 수 있다. 이번 유전자 검사에서 새조개가 자연성장할 때 생리적 특성과 해류 등 영향으로 방류지점 3㎞ 안팎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남 연구사는 “천수만 새조개가 전국 생산량에서 비중이 크지 않지만 남당항새조개축제와 수도권 접근성 등으로 이름이 났다”며 “음식점에서 껍데기 깐 것이 ㎏당 7만~8만원에 팔리는 고급 조개다. 천수만 수질도 2020년 2.75에서 2.5등급으로 서식환경이 좋아진 만큼 치패 방류에 더 적극 나서겠다”고 했다.
속살을 내민 새조개. 충남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