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조 8171억원 어치 구매
전년 대비 2000억원 늘어
올해는 2조원 넘을 것으로 예상

2021. 5. 20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서울 성동구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도시 양봉을 하는 사회적 기업 ‘어반비즈서울’ 관계자가 시민들에게 세계 꿀벌의 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21. 5. 20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2021. 5. 20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전년의 1조 6225억원에 비해 2000억원 정도 늘어난 규모다. 다만 공공기관의 전체 제품 구매액 기준으로는 2.77%로 전년의 2.85%에 비해 소폭 줄었다.
27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총 구매액 증가는 지난해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백신 구매(3조 2000억원)의 영향 때문으로 분석됐다. 백신 구매액을 제외하면 공공기관의 사회적 기업 제품 구매율은 2.92%로 다소 오르게 된다.
사회적 기업 제품 구매액은 2013년 2632억원에서 2017년 9428억원, 2019년 1조 2830억원 등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늘어난 2조 986억원으로 예상된다.
전체 861개 공공기관 가운데 전년보다 구매액이 증가한 기관은 518개 기관, 60%에 이른다. 기관별로는 지방자치단체가 6577억원으로 구매금액과 비율이 가장 높았다.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이 뒤를 이었다. 주요 구매 품목으로는 사무·전산용품, 산업용품, 식품 등의 물품이 50.6%, 청소·방역, 재활용, 간병 등 용역이 49.4%로 엇비슷했다.
사회적 기업 육성법에 따르면 공공기관은 판로 지원을 위해 사회적 기업 제품을 우선 구매해야 하며, 고용노동부 장관은 공공기관별 구매실적과 계획을 매년 공고하도록 돼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