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 건수·출생아 역대 최소… 인구 33개월째 자연 감소

혼인 건수·출생아 역대 최소… 인구 33개월째 자연 감소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22-09-28 20:42
수정 2022-09-29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청 ‘7월 인구동향’ 발표

출생아 수 76개월째 최소 경신
8월 인구 이동 46년 만에 최저

결혼하는 사람이 지속 감소하면서 올해 7월 혼인 건수가 같은 달 기준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출생아는 최소 기록을 경신한 반면 사망자는 최대치로 늘어나며 인구는 33개월째 자연 감소했다.

통계청은 28일 발표한 7월 인구동향에서 지난 7월 혼인 건수는 1만 4947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0% 감소했다고 밝혔다. 혼인 건수는 같은 달 기준 1981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첫해인 2020년 7월 1만 7080건보다 2133건, 12.5% 줄었다.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예비부부가 미뤘던 결혼식을 다시 추진하는 사례도 나오지만, 통계상으로는 코로나19 이후 혼인 감소세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주된 혼인 연령층인 30대 인구가 감소하고 비혼·만혼이 증가하면서 결혼 적령기에 대한 인식이 옅어지는 중장기적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혼 건수도 7535건으로 지난해보다 9.3% 감소했다. 혼인 자체가 감소하며 이혼도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7월 출생아 수는 2만 441명으로 지난해보다 8.6% 줄었다. 출생아 수는 2016년 4월 이후 76개월째 같은 달 기준 최소치를 경신하고 있다. 반면 사망자 수는 2만 6030명으로 1.2% 증가해 1983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인구 고령화와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이 사망자 수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7월 인구는 5588명(잠정치) 자연 감소했다.

한편 주택 매매 감소와 고령화로 8월 국내 인구 이동은 같은 달 기준 46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통계청은 이날 발표한 8월 국내인구이동통계에서 지난달 국내 이동자 수는 51만 8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2.1% 감소, 같은 달 기준 1976년 47만 1000명 이후 가장 적었다고 밝혔다. 이동자 수는 지난해 1월부터 20개월 연속 감소했다. 8월 인구이동 감소에 영향을 미친 6~7월 주택 매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 가까이 급감했다.

2022-09-2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