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사박물관이 BTS응원봉·갤럭시폴드 수집하는 이유는?

서울역사박물관이 BTS응원봉·갤럭시폴드 수집하는 이유는?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22-12-04 12:01
수정 2022-12-04 12: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의 기억상자’ 프로젝트
코로나 방역물품도 수집

그룹 방탄소년단(BTS) 멤버 정국이 20일(현지시간) 카타르 알코르 알바이트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카타르 월드컵 개막식 공연에서 공식 주제가 ‘드리머스’(Dreamers) 무대를 선보이며 댄서들과 함께 춤추고 있다. 2022.11.21 연합뉴스
그룹 방탄소년단(BTS) 멤버 정국이 20일(현지시간) 카타르 알코르 알바이트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카타르 월드컵 개막식 공연에서 공식 주제가 ‘드리머스’(Dreamers) 무대를 선보이며 댄서들과 함께 춤추고 있다. 2022.11.21 연합뉴스
서울의 유서깊은 역사와 전통문화 등을 수집·전시하는 서울역사박물관이 최근들어 아이돌 굿즈(상품) 등 ‘현대 유물’을 사들이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4일 박물관에 따르면 박물관은 지난해부터 ‘서울의 기억상자’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를 특징할 수 있는 유물들을 해마다 수집, 미래에 당대 트랜드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보자는 취지에서다. 그 시대를 대표하는 기록이나 물건을 담아서 후세에 온전히 전할 목적으로 땅에 묻어두는 타임캡슐과 유사한 개념이다.

박물관 관계자는 “역사박물관이라고 하면 전근대 유물이나 고미술만 수집할 것이라는 인식이 있는데 최근들어 근현대 유물 눈길을 돌리는 추세”라며 “서울역사박물관이 선두적인 역할을 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박물관은 앞서 삼성전자가 첫 폴더블폰으로 내놓은 ‘갤럭시 폴드’를 구입했다. 또 전 세계를 강타한 케이팝(K-POP) 열풍에 초점을 맞춰 BTS, 블랙핑크 등 아이돌 그룹의 굿즈를 부지런히 수집하고 있다. 박물관 관계자는 “온라인 쇼핑몰과 팬클럽 사이트 등을 통해 응원봉 등을 구입한다”고 전했다.

역사적으로 기록될 코로나19 시국 관련 물품들도 빼놓을 수 없다. 박물관 측은 마스크, 코로나19 진단키트 및 서울시가 운영한 생활치료센터에서 사용된 방호복 등을 모아뒀다.

최근 경북 봉화 아연광산에서 매몰 사고를 당한 지 221시간만에 생존해 돌아온 광부 2명이 하루 최소 1개의 커피믹스로 버텼다는 사실이 알려진 가운데, 박물관 측은 시중에 유통되는 커피믹스 갑과 봉지 등도 수집했다고 한다.

김용석 역사박물관장은 “전시를 준비하면서 삐삐를 구하지 못해 애를 먹은 경험이 있다”며 “미래에 서울의 역사와 기억을 대표할만한 물품들을 지금부터 차근차근 수집해보자는 아이디에 차원에서 시작됐다”고 강조했다.
서울역사박물관이 내년 3월까지 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서울반세기종합전 ‘한티마을 대치동’을 개최한다.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서울역사박물관이 내년 3월까지 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서울반세기종합전 ‘한티마을 대치동’을 개최한다.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아울러 박물관은 서울 곳곳의 어제와 오늘을 찾아가는 ‘서울반세기종합전’을 매년 열고 있는데, 올해는 교육 1번지로 꼽히는 대치동과 관련한 전시를 개최한다.

내년 3월까지 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펼쳐지는 ‘한티마을 대치동’은 전형적인 농촌마을이 ‘전국구 교육 1번지’가 되기까지 ‘상전벽해’의 여정을 선보인다.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서울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지난 1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도심 열섬 완화를 위한 서울시 폭염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폭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냉방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하기 위한 쿨루프와 옥상녹화 적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정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폭염을 단순한 불편이 아닌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이라고 규정하고 “폭염 대응은 냉방 지원과 그늘막 조성 수준을 넘어 기후 적응형 도시정책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의견들이 서울시 폭염 대응 및 기후 적응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서울시의회 의원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발제에서는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헌 교수가 복사냉각 기술을 활용한 열섬 완화 방안에 대해 소개하며, 도심의 에너지 효율 개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김진수 부회장은 인공지반 녹화의 역할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며 서울의 인공지반 녹화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자들은 폭염 대응이 단기 대책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복사냉각 쿨루프·인공지반 녹화·태양광 패널 설치
thumbnail -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