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도 여한 없다”…尹 연하장에 등장한 ‘칠곡할매글꼴’

“죽어도 여한 없다”…尹 연하장에 등장한 ‘칠곡할매글꼴’

이보희 기자
입력 2023-01-02 15:35
수정 2023-01-02 17: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칠곡군, 한글 처음 깨친 할머니들 글씨체 출시
한컴·MS오피스 등 정식 탑재

추유을 할머니가 대통령 연하장에 사용된 글씨체를 들고 있다. 칠곡군 제공
추유을 할머니가 대통령 연하장에 사용된 글씨체를 들고 있다. 칠곡군 제공
뒤늦게 한글을 배운 할머니들이 만든 ‘칠곡할매글꼴’이 윤석열 대통령의 연하장에도 등장해 화제가 되고 있다.

2일 칠곡군 등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취임 후 첫 새해를 맞아 공무원들에게 보낸 연하장의 서체로 칠곡할매글꼴을 사용했다.

연하장에는 윤 대통령의 새해 인사에 이어 ‘76세 늦은 나이에 경북 칠곡군 한글 교실에서 글씨를 배우신 권안자 어르신의 서체로 제작되었습니다’라는 글이 적혀 있다.

앞서 윤 대통령은 2년 전 검찰총장 신분일 때에도 젊은 세대와 소통하기 위해 자신의 SNS에서 칠곡할매글꼴을 사용했다. 당시 “칠곡군 문해교실에서 한글을 배운 어르신의 사연을 듣고 SNS에 사용하게 된 것”이라며 “어르신들의 손글씨가 문화유산이 된 것과 한글의 소중함을 함께 기리는 차원”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자신의 글씨체가 대통령 연하장에 사용됐다는 소식을 접한 권안자 할머니는 “이제 죽어도 여한이 없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칠곡할매글꼴은 칠곡군이 어르신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성인문해교실’을 통해 처음 한글을 배우고 깨친 할머니들의 글씨를 보존하기 위해 2020년 12월쯤 만들었다.

당시 칠곡군은 성인문해교실에서 공부한 할머니들의 글씨 400개 중 5종을 뽑았다. 이때 선정된 분들이 김영분(77) 권안자(79) 이원순(86) 이종희(81) 추유을(89) 할머니다.
윤석열 대통령 연하장. 칠곡군 제공
윤석열 대통령 연하장. 칠곡군 제공
할머니들은 글꼴을 만들기 위해 4개월간 각각 2000장에 이르는 종이에 손수 글씨를 써가며 연습했다. 칠곡군은 어르신들이 작성한 종이 1만여 장을 모아 글꼴을 만드는 업체에 맡겼고 그 결과 칠곡할매글꼴이 세상에 나오게 됐다.

칠곡할매글꼴은 현재 한컴오피스·MS워드·파워포인트 등에 정식 글씨체로 등록돼 있으며, 국립한글박물관은 칠곡할매글꼴 5종을 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김재욱 칠곡군수는 “칠곡할매글꼴은 정규 한글 교육을 받지 못한 마지막 세대가 남긴 문화유산으로, 한글이 걸어온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새 역사를 쓴 것”이라며 “글꼴을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상품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칠곡할매글꼴은 칠곡군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