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원 규모의 ‘새만금 지역간 연결도로 건설사업’이 올해 하반기 발주될 예정이어서 지역 건설경기가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에 따르면 새만금지구의 중심 거점인 2권역(수변도시)·3권역(관광·레저 지역, 잼버리예정지 포함)과 주변의 국도를 연결하는 6차로 20.7㎞의 도로 건설사업을 착공할 계획이다.
이미지 확대
새만금 지역간 연결도로 조감도.새만금개발청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새만금 지역간 연결도로 조감도.새만금개발청 제공.
새만금개발청은 이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즉시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해 현재 기재부와 총사업비를 협의 중이다. 법정 절차인 전략 및 환경영향평가 용역도 발주했다.
이 사업은 새만금 지역의 공사 여건과 공사의 시급성, 상징물(랜드마크) 조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공구분할, 입찰방법(턴키 등) 및 단계별 발주 방안을 오는 4월 국토교통부 대형공사 입찰방법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사업설명회는 4~5월 개최하고 7~8월 공사를 발주할 예정이다.
이 사업이 추진되면 1조원대 재정 투자로 1만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직접 효과와 37만명의 관광수요를 유발하는 간접효과 등이 예상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지역 건설업체 참여를 우대하기 때문에 건설경기도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 기업의 참여가 40% 이상일 때 만점을 부여하는 ‘새만금사업 지역기업 우대기준’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이와함께 2·3권역에서 진행 중인 다수의 민간 개발사업에 활기를 불어넣고 후속 투자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상·하수도, 전기 등 공급시설 설치 공간으로도 활용돼 새만금 개발과 투자유치에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임송학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