립스틱 바르고 헤어롤 말고…노마스크에 ‘꾸꾸족’ 늘었다

립스틱 바르고 헤어롤 말고…노마스크에 ‘꾸꾸족’ 늘었다

김정화 기자
입력 2023-03-27 01:18
수정 2023-03-27 01: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하철·버스 곳곳서 메이크업
대중교통 마스크 해제로 변화
색조화장품 매출 50% 늘어나

이미지 확대
직장인 김모(32)씨는 최근 립스틱과 립 틴트 같은 색조 화장품을 5만원어치 샀다. 식당이나 카페, 버스, 지하철에서도 마스크를 쓰지 않게 되면서 부쩍 메이크업에 신경을 쓰게 된 것이다. 김씨는 “예전엔 무조건 마스크를 써야 하니까 화장을 대충 했는데,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다”고 했다.

2년 5개월 만에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면서 ‘꾸꾸족’(꾸미고 또 꾸미는 소비자)이 돌아왔다. 영상 20도를 웃도는 살짝 더운 날씨도 한몫하면서 마스크를 쓰지 않고 메이크업하는 시민들이 눈에 띄게 늘었다.

지난 23일 출근길 서울 지하철 2호선에서는 좌석 7칸에 앉은 시민 중 2명이 마스크를 벗은 채 손거울을 보며 화장을 하고 있었다. 쿠션 팩트를 꺼내 들고 얼굴 전체를 두드리는가 하면 립스틱도 정성껏 발랐다. 다른 칸에서는 헤어롤을 말고 있는 한 시민이 눈 화장을 고치는 동료와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다.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된 지난 20일부터 버스와 지하철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는 직장인 오모(25)씨는 “지금까지는 기껏 메이크업해 놓고 마스크를 쓰는 게 좀 아쉬웠는데 이제는 그러지 않아서 좋다”고 말했다.

마스크 착용이 일상이었을 땐 피부 화장은 가볍게, 눈 화장은 마스카라와 아이섀도 등으로 강조하는 게 유행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얼굴 전체를 더 꼼꼼히 신경 쓰는 경향이 짙어졌다. 실제로 유통업계에 따르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 해제를 앞둔 이달 13~19일 색조화장품 매출은 1년 전보다 50%가량 늘었다.

직장인 임지윤(26)씨는 “화장한 뒤 마스크를 쓰면 습기가 차서 너무 갑갑한 느낌이 싫었는데 이제 편하게 다닐 수 있다”며 “대중교통에서 마스크 의무 착용이 풀린 이후에는 화장하는 시간과 횟수가 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늘었다”고 말했다. 박소진(26)씨도 “눈 화장만 하다가 다시 얼굴 전체 화장을 하는 사람이 늘었다”며 “다시 피부 관리에도 신경 쓰는 추세”라고 전했다.
2023-03-2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