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복지 거점 사회복지종합센터·사회서비스원 개소

부산지역 복지 거점 사회복지종합센터·사회서비스원 개소

정철욱 기자
정철욱 기자
입력 2023-04-18 14:24
수정 2023-04-18 14: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18일 부산 동래구 낙민동에 문을 연 부산사회복지종합센터. 부산시 제공
18일 부산 동래구 낙민동에 문을 연 부산사회복지종합센터. 부산시 제공
부산지역 복지업무의 컨트롤 타워 기능을 수행할 부산사회복지종합센터와 부산사회서비스원이 문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부산시는 18일 오후 2시 30분 동래구 낙만동 부산사회복지종합센터에서 센터와 부산사회서비스원 개소식을 연다고 밝혔다. 개소식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안성민 부산시의회 의장, 김희곤 국회의원, 김계진 보건복지부 정책관, 사회복지단체 대표 등 100여 명이 참석한다.

부산사회복지종합센터는 사회복지단체의 사무실과 운영시설이 흩어져 있고, 공간이 협소해 사회복지 활동에 제약이 따르는 점을 해소하려고 만든 복지 거점이다. 센터는 지상 6층, 연면적 4655㎡ 규모로 종합상담실, 대강당, 회의실, 사무실 등으로 구성돼있다.

이곳에는 부산사회서비스원과 노인·장애인·아동 관련 복지단체 등 등 22개 기관이 입주할 예정이다. 센터는 앞으로 민간 사회복지 조직들이 협력을 강화하도록 지원하고, 거버넌스를 구축해 복지의 구심점 역할을 하게 된다.

부산사회서비스원도 이날 문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부산사회서비스원은 부산복지개발 원을 전환해 설립한 기구다. 복지 관련 정책 연구기능을 부산발전연구원으로 이전하고, 사업 수행 능력을 강화했다.

부산사회서비스원은 돌봄 등 사회서비스 품질 향상을 지원하고, 새로운 서비스 발굴 등을 담당한다. 민간 기관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회계·법무·노무 등 상담과 자문을 제공하고, 시설 종사자의 처우 개선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기존 돌봄 서비스가 중단되는 등 긴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보완하는 틈새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공립 사회복지시설 수탁운영도 맡는다. 시는 사회서비스원 설립으로 단순 돌봄에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한 융합형 돌봄서비스 개발·보급하고, 규모화·조직화 지원으로 영세한 민간 복지기관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부산시 관계자는 “부산사회복지종합센터가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개선, 나눔문화 확산을 선도하고, 복지 허브인 부산사회서비스원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