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충남 인구 60세가 주도…중위연령 44→60세

2050년 충남 인구 60세가 주도…중위연령 44→60세

이종익 기자
이종익 기자
입력 2023-04-29 11:00
수정 2023-04-29 1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38년 225만5000명 정점, 이후 하향
65세 인구 17.9%→42.7% 급증
이미지 확대
충청남도 인구통계 분석자료. 충남도 제공
충청남도 인구통계 분석자료. 충남도 제공
충남 인구가 2050년 유소년 감소와 고령화 영향으로 중위연령이 현재 40대에서 60대로 전망됐다. 인구는 2038년 정점을 찍은 뒤 서서히 감소하면서 15개 시·군중 천안·아산·서산·당진 등 북부권 거주자 비율이 64%를 차지해 지역 간 불균형이 심해질 것으로 예상됐다.

29일 충남도에 따르면 한국공공자치연구원이 2020년 (217만 7000명) 인구를 기준으로 장래 인구를 추계한 결과, 인구가 계속 증가하다 2038년 225만 5000명으로 정점을 기록 후 점차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2050년의 중위연령은 2020년 44.1세에서 60세로 15살 이상 많아진다. 성별로는 여성이 62.2세, 남성이 58.2세다. 중위연령은 나이순으로 줄을 세웠을 때 가장 중간에 있는 나이다.

65세 고령인구도 2020년 39만 명(17.9%)에서 2050년 94만 3000명(42.7%)으로 2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생산연령인구와 유소년인구는 반토막 수준이다. 2050년 0~14세의 유소년인구는 2020년 27만 7000명(12.7%)에서 18만 5000명(8.5%)으로 감소한다. 15~64세의 생산연령 인구 역시 151만 명(68.4%)에서 106만 3000명(48.5%)으로 줄어든다.

지역 간 불균형은 더욱 심해져 북부권 거주자 비율이 2022년 63.1%에서 2037년 64.3%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용역사는 분석을 바탕으로 도민 수요 맞춤형 생활환경 재정비, 도민 일자리 지향형 경제 구조 재조정, 상생 협력형 역량 재강화 등 발전전략을 제시했다.

세부 전략으로 주거 정주·도로교통, 임신·출산·보육·교육, 산업경제·일자리, 청년·이주민·다문화·고령화 등 4개 분야에서 총 56개 사업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약자 거주 안심 서비스 구축, 종합 귀농·귀촌 지원센터 운영, 청년인구 유입을 위한 주거·일자리·청년 활동 종합 연계 지원, 스마트팜 시범단지 조성 등을 제시했다.

도 관계자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인구 감소와 고령화, 지역 불균형, 지방 소멸 등을 개선할 인구정책을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