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조 화환 멈춰달라” 호소한 학부모 글… 비판 여론에 삭제

“근조 화환 멈춰달라” 호소한 학부모 글… 비판 여론에 삭제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3-07-20 15:29
수정 2023-07-22 10: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교사 극단선택 초등학교에 추모 화환 행렬
한 맘카페 글 “슬프지만 어린이들 생활공간”
이미지 확대
20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 초등학교 앞에 추모 화환들이 가득 놓여 있다. 교육계에 따르면 이 학교 1학년 담임인 20대 여교사가 학교 안에서 극단적 선택을 해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2023.7.20 연합뉴스
20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 초등학교 앞에 추모 화환들이 가득 놓여 있다. 교육계에 따르면 이 학교 1학년 담임인 20대 여교사가 학교 안에서 극단적 선택을 해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2023.7.20 연합뉴스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실에서 20대 여교사가 극단 선택을 한 사건이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한 학부모가 아이들에게 트라우마(사고후유장애)가 생긴다는 이유를 들며 “화환과 꽃다발을 멈춰달라”는 글을 써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자신을 해당 학교의 ‘평범한 학부모’라고 소개한 A씨는 20일 오전 한 맘카페에 ‘부디 화환과 꽃다발을 멈춰주세요’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A씨는 “너무나 가슴 아픈 일이고 저 역시 진실이 낱낱이 밝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저는 학교로부터 어떤 사실도 통보받지 못했고 제 자녀에게 어떤 방식으로 대처해야 할지도 알지 못한다. 이 아침 이미 길가에 진을 치기 시작했다는 기자 양반들, 유명한 유튜버분들 그리고 아름답지만 너무 슬픈 근조 화환을 뚫고 제 아이를 어떻게 등교시켜야 할지 모르겠다”고 걱정했다.

이어 “국화꽃을 놓는 마음을 모르는 게 아니다”라면서 “이 학교는 절대 일어나선 안 되는 슬픈 일이 생긴 곳인 동시에 또한 어떤 어린이들의 생활공간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A씨는 “저희에게 부디 조금의 시간을 달라. 어른들의 급한 슬픔으로 어린이들의 생활공간을 덮지 말아 달라. 제발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학교를 가득 덮고 있는 근조 화환의 크기가 우리가 느끼는 슬픔의 크기를 대변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근조 화환을 멈춰달라는 것이 애도를 멈추라는 뜻으로 해석되지 않았으면 한다”고 양해를 구했다.

이미지 확대
20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 초등학교 앞에 추모 화환들이 가득 놓여 있다. 2023.7.20 연합뉴스
20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 초등학교 앞에 추모 화환들이 가득 놓여 있다. 2023.7.20 연합뉴스
A씨는 또 “아이들에게 트라우마 없이 사건을 잘 설명하기란 생각보다 쉽지 않다”며 엄마로서의 고충을 토로했다.

그러나 이 글을 본 맘카페 회원들 다수는 A씨가 자기 아이만 생각한다며 비판을 쏟아냈다.

이들은 “죄송하지만 지금은 아이보다 돌아가신 선생님을 먼저 생각해야 할 때라고 보인다”, “학교에서 죽지 않으면 억울함이 풀리지 않을 정도로 힘들었던 23살 사회 초년생 교사분에게 이 정도 예의는 보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어머니 마음은 이해하지만 이 과정 또한 아이들이 배워야 하고 지나가야 하는 문제여서 추모는 필요하다고 본다” 등 댓글을 남겼다.

다만 일부 회원들은 “아이가 저학년이라 저도 아직 설명을 못 했다. 학교 앞이 이렇다면 전 오늘 아이를 학교에 못 보낼 것 같다”, “저는 이 학교 아이 엄마는 아니지만 학교에서 며칠 휴교하면 좋겠다” 등 댓글을 달며 A씨의 의견에 동조하기도 했다.

논란이 커진 후 A씨의 글은 현재 삭제된 상태다.

이미지 확대
20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 초등학교 앞에 추모 화환들이 가득 놓여 있다. 2023.7.20 연합뉴스
20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 초등학교 앞에 추모 화환들이 가득 놓여 있다. 2023.7.20 연합뉴스
서울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지난 18일 오전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 교내에서 이 학교 1학년 담임인 B(23)씨가 사망한 채 발견됐다. B씨는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교육계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B씨가 교단에 선 지 얼마 안 됐는데 학부모의 민원에 시달렸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유서는 발견되지 않은 가운데 경찰은 사망 원인을 밝히기 위해 수사 중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