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男 술 줄였고 女 더 마셨다

10년간 男 술 줄였고 女 더 마셨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3-10-30 10:44
수정 2023-10-30 13: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질병청, 음주 심층보고서 발간
2012~2021년 고위험음주율
남성 25.1%→23.6%, 여성 7.9%→8.9%

이미지 확대
경기도 수원시 광교산 입구에서 경찰이 행락지 및 스쿨존 음주단속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도 수원시 광교산 입구에서 경찰이 행락지 및 스쿨존 음주단속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0년간 남성의 음주량은 줄어든 반면, 여성의 음주량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질병관리청이 발간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음주 심층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1년 남성의 고위험음주율은 25.1%에서 23.6%로 줄었고, 여성은 같은 기간 7.9%에서 8.9%로 늘었다.

고위험음주율은 한 번 마실 때 남성은 7잔, 여성은 5잔 이상을 주 2회 마신 비율을 말한다. 나이별로는 남성 40~50대, 여성 20~30대에서 이런 고위험음주자가 많았다.

월 1회 이상 고위험 음주를 한 ‘월간폭음률’도 남성은 61.7%에서 56.0%로 줄었으나, 여성은 31.0%에서 31.1%로 늘어 큰 변화가 없었다. 월간폭음률은 40~50대 남성과 20~30대 여성이 높았다.

주 4회 이상 술을 마신 ‘지속적 위험음주율’은 남성 10%, 여성 3% 내외로 매년 오르락내리락하고 있다. 이렇게 거의 매일 술을 마시는 사람은 대개 50~60대 남성이었고, 여성은 30대가 많았다.

심층 연구를 한 김광기 인제대 교수는 20~30대 여성의 음주율이 증가한 이유에 대해 “도수가 낮은 술이나 과실주 등 주류 상품 개발로 접근성이 좋아지고, 음주에 대한 사회·문화적 수용성도 높아진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남성 음주량은 줄었으나 건강 취약 집단은 계속 위험한 음주를 하고 있다. 담배와 술(월간 음주)을 같이 하는 남성은 최근 10년 새 36.2%에서 28.1%로 감소했다. 그러나 남성 10명 중 1명은 여전히 매일 흡연하면서 고위험 음주를 하고 있었다.

술을 조금 마셔도 금세 얼굴이 빨개지는 알코올 홍조증을 경험한 사람은 10명 중 4명 꼴이었다. 이중 고위험 음주를 하는 사람은 남성 14.0%, 여성 4.3%로 남성이 여성보다 3배 정도 많았다. 알코올 홍조증은 알코올 분해효소가 부족해 생기는 증상으로, 이런 사람이 계속해서 고위험 음주를 하면 식도암 등 암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고혈압과 당뇨병 등 만성질환 치료 약 복용자 중 고위험음주율도 남성(20.4%)이 여성(9.0%)보다 높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음주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음주 행태를 개선하려면 개인뿐만 아니라 음주를 조장하는 환경을 개선하는 등 사회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