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 숙인 전청조…“혐의 인정하냐” 질문엔 얼굴 가리고 침묵

고개 숙인 전청조…“혐의 인정하냐” 질문엔 얼굴 가리고 침묵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3-10-31 20:50
수정 2023-11-01 14: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현희 전 펜싱 국가대표 재혼 상대로 알려진 뒤 사기 의혹을 받는 전청조 씨가 김포에서 체포된 뒤 31일 오후 서울 송파경찰서로 압송되고 있다. 2023.10.31 뉴스1
남현희 전 펜싱 국가대표 재혼 상대로 알려진 뒤 사기 의혹을 받는 전청조 씨가 김포에서 체포된 뒤 31일 오후 서울 송파경찰서로 압송되고 있다. 2023.10.31 뉴스1
전 펜싱 국가대표 남현희(42)씨의 재혼 상대로 알려졌다가 사기 의혹이 불거진 전청조(27)씨가 31일 경찰에 체포됐다.

이날 오후 8시 7분쯤 송파경찰서에 압송된 전씨는 검은 모자와 후드티를 눌러 쓴 채 고개를 푹 숙인 모습이었다.

그는 “사기 혐의를 인정하는가”, “남현희씨도 사기 범행에 가담했는가”, “재벌 3세가 아니라는 사실을 남씨가 언제 알게 된 것인지” 등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지 않고 건물 안으로 들어갔다.

경찰은 이날 오후 3시 52분쯤 경기도 김포 모처에 위치한 전씨의 친척 집에서 사기·사기미수 혐의를 받는 전씨를 체포했다. 아울러 전씨의 주거지에 대한 압수수색도 실시했다.

전씨는 지난 23일 언론 인터뷰를 통해 남씨와 결혼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이후 전씨의 사기 전과와 함께 성별 논란 및 재벌 3세 사칭 의혹 등이 제기됐다.

이에 김민석 서울 강서구의회 의원은 지난 25일 사기 및 사기미수 혐의로 전씨를 고발했다. 지난 28일에는 전씨의 사기 사건과 관련해 남씨의 공범 의혹도 함께 수사해달라는 내용의 진정도 접수했다.

지난 26일 서울 송파경찰서에는 전씨가 올해 애플리케이션(앱) 개발 투자 명목으로 피해자 1명으로부터 2000만원을 가로챘다는 내용의 고소장이 접수됐고, 송파경찰서는 전씨의 사기·사기미수 사건을 병합해 수사를 벌이고 있다.

전씨는 의혹이 불거진 이후인 지난 26일 오전 1시 10분 경기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남씨의 어머니 집을 찾아가 문을 두드리고 초인종을 누른 혐의(스토킹 처벌법 위반 등)로 성남중원경찰서에서도 조사를 받고 있다.

황철규 서울시의원 “가해에 관대·피해에 가혹한 학폭 조치 기준, 이제 바꿔야”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황철규 의원(국민의힘, 성동4)은 지난 13일 제333회 정례회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가해학생에게는 관대하고 피해학생에게는 가혹한 학교폭력 조치 기준은 이제 바꿔야 한다”며 조치 기준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황 의원은 최근 심의 사례를 언급하며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히고도 사회봉사에 그치는 약한 처분이 반복되고 있다”며 “피해학생이 다음 날 가해학생과 같은 학교에 등교해야 하는 현실은 잘못된 기준이 만든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현행 교육부의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별 적용 세부기준 고시’는 2016년에 제정된 이후 개정 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황 의원은 “현재 조치 기준상 피해의 심각성이 크더라도 ‘일회성’으로 판단되면 강한 처분이 내려지기 어려운 구조”라며, 학교폭력 조치 기준이 10년 가까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또 가해학생의 반성문·화해 노력 등이 조치 점수에서 과도하게 반영되는 점도 지적했다. 황 의원은 “반성문 몇 장만 제출해도 점수가 낮아져 중한 처분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는 구조”라며 “현재 조치 점수 체계는 가해학생 중심적이며, 피해학생 보호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thumbnail - 황철규 서울시의원 “가해에 관대·피해에 가혹한 학폭 조치 기준, 이제 바꿔야”

전씨는 또 중학생인 남씨의 조카를 골프채 등으로 때린 혐의도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