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44세 사망원인 1위는 ‘손상 사망’…그중 절반은 ‘이것’

15~44세 사망원인 1위는 ‘손상 사망’…그중 절반은 ‘이것’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3-11-23 14:28
수정 2023-11-23 14: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DB
서울신문DB
지난해 청소년과 청장년층 사망자 2명 중 1명은 사고 등으로 인한 ‘손상 사망’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손상 사망자의 절반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우였다.

질병관리청은 23일 국가기관이 발표한 통계에서 손상 관련 내용을 모은 ‘손상 발생 현황 2023’을 발간했다.

‘손상’은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 사고의 결과로 신체 및 정신건강에 해로운 결과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질병청의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23개 병원 참여) 결과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는 지난해 19만 3384명으로, 2019년(27만 7372명)보다 30.3% 줄었다.

코로나19 유행 후 외부 활동이 감소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청소년과 청장년층 사망자 2명 중 1명은 사고나 자살 등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손상 사망자의 절반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우였다. 질병관리청 제공
지난해 청소년과 청장년층 사망자 2명 중 1명은 사고나 자살 등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손상 사망자의 절반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우였다. 질병관리청 제공
다만 15~44세 연령대만 볼 때 손상은 1위 사망 원인이었다. 15~24세는 67.9%, 25~34세는 61.0%나 됐고, 35~44세도 35.9%였다. 손상이 젊은층의 조기 사망 원인으로 작용해 사회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초래한다는 얘기다.

인구 10만명당 손상 사망자 수(52.1명)의 절반 가까이인 25.2명은 ‘고의적 자해(자살)’가 원인이었다.

운수(교통)사고(6.8명)와 추락·낙상(5.3명)보다 사망자가 많았다.

입원 환자를 기준으로 보면 손상 환자 중 추락·낙상 환자의 비중이 가장 컸다. 인구 10만명당 손상 입원환자 수가 1848명인데, 47.2%인 774명이 추락·낙상에 의한 것이었다.

전체 손상환자 중 추락·낙상 환자가 차지하는 비중(2021년 기준)을 보면 75세 이상 71.0%, 65-74세 54.2%, 55-64세 45.4% 등 연령대가 높을수록 컸다.

낙상 환자의 45.1%는 집에서, 25.0%는 길·간선도로에서 사고를 당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대부분 집이 사고 발생 장소였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손상으로 인한 젊은 연령층의 사망과 장애 증가는 사회경제적으로 큰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며 “대부분의 손상은 예방할 수 있으므로, 위험요인과 취약계층을 발굴하고 이에 맞는 예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