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이 XX야” 막말·따돌림 직장 문화 여전

“너 이 XX야” 막말·따돌림 직장 문화 여전

손지연 기자
손지연 기자
입력 2024-04-29 14:08
수정 2024-04-29 14: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직장갑질 119, 제보 메일 분석해보니
407건 중 284건(69.8%)이 괴롭힘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50인 미만 회사에서 4년 차 대리로 일하는 A씨는 최근 계속되는 상사의 막말에 골머리를 앓는다. A씨의 상사는 입사 때부터 ‘X새끼, 너, 인마’ 등 막말을 일삼았다. A씨는 “며칠 전에는 거래처 직원들이 있는 자리에서 ‘또 실수하면 가만두지 않겠다’고 소리를 치기도 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29일 노동시민단체 직장갑질119에 따르면 전체 직장갑질 10건 중 7건이 직장 내 괴롭힘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갑질119가 지난 1~3월 신원이 확인된 이메일 제보 407건을 분석한 결과 괴롭힘이 284건(69.8%)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징계·해고와 같은 고용불안 유형이 118건(29.0%), 임금갑질이 97건(23.8%)이었다.

괴롭힘 유형은 ‘따돌림·차별’이 188건(66.2%)으로 가장 많았고, ‘폭행·폭언’이 113건(39.8%), ‘모욕·명예훼손’이 110건(38.7%)이 뒤를 이었다.

아울러 직장갑질119는 비정규직이거나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은 직장인의 경우 고용불안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단체가 지난해 12월 4~11일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실직을 경험한 비율은 비정규직(20.5%)이 정규직(6.8%)에 비해 3배 더 높았다. 비노조원(13.3%)도 노조원(5.5%)보다 2배 이상 높은 실직 경험률을 보였다.

직장갑질119는 “일터의 약자인 비정규직과 중소기업 노동자들은 자신을 보호할 노조가 없어 직장갑질과 고용불안, 저임금의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