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 올해 소각 폐기물 1만톤 줄인다

마포, 올해 소각 폐기물 1만톤 줄인다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4-06-26 11:11
수정 2024-06-26 11: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 자원회수시설 건립 막고 대안 제시
1일 300㎏ 배출 건물은 ‘사업장’으로 분류
커피찌꺼기·폐 원단 재활용… 소각제로 가게도

이미지 확대
서울 마포구청 관계자들이 지난해 생활폐기물 종량제봉투 안 쓰레기 분석을 위해 청소 차량 차고지에 모인 모습. 마포구 제공
서울 마포구청 관계자들이 지난해 생활폐기물 종량제봉투 안 쓰레기 분석을 위해 청소 차량 차고지에 모인 모습.
마포구 제공
서울 마포구는 올해 생활폐기물 1만 862t 감량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지난해 총량의 21.44%에 해당하며, 전년 대비 목표치를 두 배 이상 올린 셈이다.

구는 올해가 서울시 자원회수시설 건립을 막고 2026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라고 판단, 소각 쓰레기 감량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세웠다고 설명했다. 지난 3월 제정·공포한 ‘서울특별시 마포구 폐기물 감량에 관한 조례’ 를 바탕으로 하반기 생활폐기물 1만t 감량을 위해 배수진을 펼친다는 각오다.

폐기물 감량 핵심 사업으로 사업장폐기물 배출자 신고 처리 강화, 커피 찌꺼기 및 폐 봉제 원단 재활용, 의류 등 재활용 확대, ‘소각제로가게’ 확대 운영을 추진한다.

구는 사업자별 배출량이 아닌 1일 300㎏ 이상 생활·재활용·음식물폐기물을 배출하는 건물을 사업장폐기물 배출자로 간주하고 사업장배출자 신고 후 자체 위탁 처리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대규모 빌딩이 밀집한 상업지구와 상가·호텔 등 대형 건물 중심의 사업장폐기물 배출자를 파악, 자체 처리로 연간 5475t 이상의 소각 폐기물을 감량할 계획이다.

또 그간 생활폐기물로 분류돼 소각·매립된 커피 찌꺼기와 폐 봉제 원단을 별도 수집·재활용한다. 마포구 1585개 커피전문점이 하루 3.5㎏씩 커피 찌꺼기를 재활용하면 하루 5.5t, 연간 2024t의 소각 쓰레기가 줄어든다. 94개 업체가 배출하는 폐 봉제 원단(일 평균 19.58㎏)도 연간 672t 재활용한다는 게 구의 계산이다. 이외에도 구는 생활폐기물 혼합 배출 단속과 홍보를 강화해 2370t의 소각 쓰레기를 줄이고 의류 수거함을 증설(418개)해 연간 폐의류 171t 재활용에 나선다.

마포형 재활용 분리배출 시설인 ‘소각제로가게’도 7월, 홍대 레드로드 R1을 비롯한 6곳을 시작으로 올해 33개까지 늘려 생활폐기물 150t을 줄여나갈 방침이다.


유정희 서울시의원, 서울서남부 관악농협 하나로마트서 여름철 농축산물 할인지원 현장점검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정희 의원(더불어민주당, 관악4)이 지난 30일 서울서남부 관악농협 하나로마트에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등과 함께 여름철 농축산물 할인지원 현장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최근 서울서남부농협 하나로마트에서는 정부의 정책에 발맞춰 감사, 당근, 수박, 복숭아 등 13개 품목을 대상으로 농축산물 할인지원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농축산물 실시간 타임세일, 주말세일 등 자체적으로 할인행사를 실시 중으로, 소비자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완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번 방문은 농식품부가 여름 휴가철 소비자 장바구나 물가 경감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농축산물 할인지원 사업이 하나로마트 등을 비롯해 계획되고 진행되고 있는지 추진 상황 및 진행과정을 점검하는 자리로 진행됐다. 이날 현장점검에 참석한 유정희 서울시의원과, 송미령 농식품부장관 및 박준식 서울서남부농협 조합장은 농축산물 수급상관 및 할인지원 현장을 점검하고, 지역 소비자 물가 안정화 방안 논의를 이어갔으며, 하나로마트 고객들의 현장 여론 또한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유 의원은 지역 소비자 물가 안정화에 대한 설명 이후, 산지와의 직거래를 통한
thumbnail - 유정희 서울시의원, 서울서남부 관악농협 하나로마트서 여름철 농축산물 할인지원 현장점검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더는 물러날 곳이 없다는 생각으로 올 하반기 마포구는 37만 구민과 합심해 생활폐기물 감량에 나설 것”이라며 “소각장을 늘려나가는 것보다 더 좋은 대안이 있음을 확실히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이어 “생활폐기물 감량 노력은 서울시 전 자치구가 반드시 함께 해 나가야 할 최우선 과제”라며 자치구 협력을 촉구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