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도지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3/SSC_20250203163727_O2.jpg.webp)
![이철우 경북도지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3/SSC_20250203163727_O2.jpg.webp)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3일 “동해 심해 유전개발 사업은 국가는 물론 지역경제에도 상당한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만큼 정파와 정권을 떠나 중앙과 지방정부가 중심을 잡고 민간과 힘을 합쳐 차질 없이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대왕고래’로 알려진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이 진행 중인 울릉분지에서 최대 51억 7000만 배럴의 가스·석유가 추가로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 것과 관련해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또 “대왕고래에 이어 마귀상어까지 대규모 가스 유망구조가 발견된 만큼 정부의 1회 추경에서 반드시 관련 예산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심해 기술평가 전문기업 액트지오(Act-Geo)가 최근 석유공사에 제출한 ‘울릉분지 추가 유망성 평가’ 용역 보고서에는 울릉분지 일대에 가스·석유 매장 가능성이 큰 14개의 새로운 유망구조를 발견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14개 구조 중 탐사 자원량이 가장 많은 구조는 ‘마귀상어’(Goblin shark)로 명명된 곳이다.
경북도는 영일만 일원에 대왕고래 프로젝트에서 생산된 석유와 가스를 처리할 플랜트를 건설하고 더 나아가 LNG 터미널과 수소 산업 인프라 등 영일만 글로벌 에너지 허브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에너지 투자 펀드’를 만들어 민간투자에 마중물을 제공하고 석유공사와 힘을 합쳐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차질 없이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