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숙제 끝나면 SNS·채팅에 푹… 아동·청소년 35% “잠이 부족해요”

학원·숙제 끝나면 SNS·채팅에 푹… 아동·청소년 35% “잠이 부족해요”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5-08-10 23:48
수정 2025-08-10 23: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9~17세 3137명 수면 실태 분석

평균 7.9시간 수면… 0.4시간 줄어
‘행복지수 45.3점’ 정신건강 악영향
이미지 확대


국내 아동·청소년 3명 중 1명은 수면 부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원인은 학원·숙제 등 학업이지만, 소셜미디어(SNS) 사용과 게임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평균 수면 시간은 권장 기준에 한참 못 미쳤고, 행복지수와 정신건강 지표도 함께 악화했다. 1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발표한 ‘2023년 아동종합실태조사’ 심층분석에 따르면 9~17세 아동의 34.9%가 ‘잠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이번 연구는 18세 미만 5743명을 조사한 결과다. 이 중 9~17세 3137명의 수면 실태와 원인을 별도 분석했다.

조사 대상 아동의 평균 수면 시간은 7.9시간으로, 미국 수면재단 권고(6~13세 9~11시간, 14~17세 8~10시간)에 미치지 못했다. 직전인 2018년 조사(학기 중 8.3시간)보다도 0.4시간 줄었다.

수면 부족의 60%는 학업 때문이었다. ‘학원·과외’가 34.3%로 가장 많았고, ‘SNS·채팅 등 휴대전화 사용’(15.5%), ‘숙제 등 가정학습’(15.2%), ‘게임’(14.1%), ‘야간 자율학습’(10.8%) 순이었다. 2018년 조사에서는 ‘학원·과외’(45.7%), ‘야간 자율학습’(18.7%), ‘가정학습’(13%) 순이었으나, 5년 뒤에는 SNS와 채팅이 2위로 올라섰다. 학업량뿐 아니라 SNS 사용이 늘면서 수면 시간이 더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수면 부족이 집중력 저하, 학업 성취도 감소뿐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한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의 ‘2024년 아동행복지수 생활시간 조사’(전국 초1~고2 1만140명)에 따르면, 아동행복지수는 평균 45.3점(100점 만점)에 그쳤다. 공부 압박을 받는 아동의 행복지수는 평균 44.16점으로, 그렇지 않은 아동(45.95점)보다 낮았다. ‘충동적으로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9.6%로, 2021년(4.4%)의 두 배 이상이었다.

2025-08-1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