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는 강원도 강릉과 삼척에서만 자생

백두대간 석회암 지대에 서식하는 희귀식물 가는대나물 꽃.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제공
강원도 강릉과 삼척에만 자생하는 희귀식물인 ‘가는대나물’의 유전체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은 11일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연구진이 가는대나물의 엽록체 유전체를 해독해 보전·복원 연구에 속도가 붙게 됐다고 밝혔다. 백두대간수목원은 백두대간에 분포하는 희귀식물을 대상으로 한 현지 내 보전·복원 연구사업을 통해 석죽과인 가는대나물의 엽록체 DNA 서열을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 확보한 유전체 정보는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 세계 유전자은행에 등록됐고 지난 3월 아시아·태평양 생물다양성을 다루는 국제학술지에도 게재된 바 있다.
가는대나물은 백두대간의 석회암 지대에서만 자생이 확인되는 북방계 식물로, 7월 옅은 분홍색 꽃을 피워 관상 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북한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2002년 강원도 자병산에서 처음 확인됐다. 석회암 채굴로 자병산 집단이 사라지면서 현재 국내에서는 강원 강릉과 삼척 두 곳에서만 서식한다. 산림청은 희귀식물 위기 등급(EN)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이규명 국립백두대간수목원장은 “백두대간의 희귀식물 유전정보 확보 및 과학적 보전 연구에 지속해 추진하고 보전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