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공연 절반이상 직접 기획·제작 제작
관현악단 창단, 11월 오디션…50명안팎 선발
윤영문 전당장 “극장 자체 제작이 곧 경쟁력”

광주예술의전당.
광주예술의전당이 2026년부터 공연 제작 기능을 대폭 강화해 ‘창작 중심 극장’으로 새롭게 거듭난다.
광주예술의전당은 “내년부터 전체 공연의 절반 이상을 자체 기획·제작 공연으로 운영하고, 지역 예술가들의 참여 비중을 크게 늘리기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변화는 공연 기획부터 제작, 연습, 상연에 이르는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특히 올해 11월 관현악단 창단을 앞두고 오디션을 통해 2관 편성 기준 약 50명 안팎의 단원을 선발할 예정이다. 새로 출범하는 광주예술의전당 관현악단은 연간 20회 이상 자체 기획 공연과 시립예술단과의 협업 무대를 선보인다.
또한 오케스트라와 연계한 공연 제작 시 충분한 연습 시간과 공연 연계 시스템도 함께 정비해 안정적인 운영 기반을 마련한다.
지역 프리랜서 음악인과의 단기 공연 계약도 확대해 연주자들의 활동 기회를 넓히고 안정적인 활동 환경 조성에 힘쓴다.
윤영문 광주예술의전당 전당장은 “현대 극장의 경쟁력은 자체 제작 공연에 달려 있다”며 “이번 개편으로 예술의전당이 지역 공연 제작의 허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지역 예술인에게는 새로운 기회를, 시민들에게는 품격 있는 공연 문화를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예술의전당은 이번 전환을 통해 지역 문화예술의 중추적 역할을 강화하고, 창작 공연 활성화를 통해 광주를 대표하는 공연예술 기관으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