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학·약학·인공지능 등 8명 선정, 연구의 질적·양적 영향력 세계적 인정
숙명여대 교수 8명이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와 글로벌 학술 출판사 엘스비어가 공동 발표한 ‘2025 세계 최상위 2% 연구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숙명여대 기계시스템학부 김윤영, 약학부 양미희, 인공지능공학부 김병규, 화공생명공학부 박민우, 약학부 강교빈, 약학부 강영숙 교수.
숙명여자대학교가 공학과 약학,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경쟁력을 입증했다. 숙명여대 교수 8명이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와 글로벌 학술 출판사 엘스비어가 공동 발표한 ‘2025 세계 최상위 2% 연구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 명단은 전 세계 700만 명이 넘는 과학자 중 연구의 질적·양적 영향력을 종합 평가해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상위 2%를 가려낸 권위 있는 지표다. 엘스비어의 학술 데이터베이스 ‘스코퍼스(Scopus)’에 등재된 모든 출판물을 기반으로 복합지표를 산출해 선정하며, 최소 5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이번 명단에서 숙명여대는 연구의 누적 성과를 반영하는 ‘생애업적(Career-long)’과 2024년 한 해의 성과를 평가하는 ‘단일연도(Single year)’ 두 부문에서 총 8명의 교수를 배출했다. 특히, 기계시스템학부 김윤영 교수는 두 부문에 모두 선정되어 꾸준하고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생애업적 명단에는 △김윤영 기계시스템학부 교수 외에 △양미희 약학부 교수 △김병규 인공지능공학부 교수 △강영숙 약학부 교수 △류재하 약학부 교수 등 5명이 이름을 올렸다.
2024년 단일연도 명단에는 △김윤영 교수를 포함해 △강교빈 약학부 교수 △박민우 화공생명공학부 교수 등이 선정됐다. 선정된 교수들은 공학, 약학, 인공지능, 화공생명공학 등 숙명여대의 주요 연구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보이며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숙명여대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연구 중심 대학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류원희 숙명여대 연구처장은 “연구의 양적·질적 성장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연구 생태계를 구축하고, 숙명여대가 글로벌 연구중심대학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