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양도 한섬들이 불턱·법환불턱 2곳 복원 착수
현재까지 43곳 복원 정비… 제작 당시 공법 적용
제주도가 최근 자연재해로 훼손된 불턱 복원사업에 나선다. 사진은 비양도 ‘한섬들이 불턱’ 현재 모습. 제주 강동삼 기자
돌담형 불턱에 뚫린 공간으로 펼쳐보이는 제주시 협재바다의 모습. 제주 강동삼 기자
제주 해녀공동체의 온기와 기억이 깃든 공간이 다시 살아난다.
바다와 맞닿은 돌담 너머로 해녀의 숨비소리가 바람결에 섞인다. 물질을 마친 해녀들이 언 몸을 녹이고 서로의 삶을 나누던 공동체의 심장같은 곳이 ‘불턱’이다. 불턱은 단순한 탈의장이 아니다. 바다의 위험을 공유하고, 어장 정보를 전수하며, 때로는 마을 대소사를 의논하던 삶의 터전이기도 했다.
제주도는 최근 자연재해로 훼손된 불턱 두 곳의 복원사업에 착수했다고 4일 밝혔다.
비양도 ‘한섬들이 불턱’과 서귀포시 법환동 ‘법환 불턱’이 그 주인공이다.
이번 불턱 복원은 2018년 이후 45번째로, 해녀문화유산 보존사업이 속도를 낸다. 지난 10월 실시설계와 행정절차를 마친 도는 전통 석재와 방식 그대로 복원 작업에 들어갔다. 외부 재료 반입 없이 현지 돌을 이용하고, 시멘트 대신 모래를 손으로 떠 붙이는 방식 등 제작 당시의 공법을 그대로 적용한다.
제주도 해녀박물관에 조성된 불턱의 모습. 제주도 제공
해안 침식과 태풍 등으로 훼손 사례가 늘면서 도는 2018년부터 제주해녀문화유산 정비사업을 진행해왔다. 현재까지 돌담형 불턱 48곳과 107개의 해신당 가운데 43곳을 복원 정비했다.
도 관계자는 “불턱은 크게 자연형 불턱과 인공적인 돌담형 불턱이 반반 비율로 형성돼 있다”면서 “그동안 43곳 가운데 돌담형 불턱 21곳을 정비하고 해신당 1곳을 복원 정비했다. 나머지는 표지판을 새롭게 설치했다”고 전했다.
오상필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불턱 복원은 구조물 보수가 아니라 해녀 공동체의 역사와 정신을 되살리는 일”이라며 “지역 해녀들과 협력해 그 가치를 온전히 전승하겠다”고 말했다.
자연형 불턱이 존재하는 구좌읍 종달리에서는 오는 16일 ‘종달 방망세기 불턱문화제’가 열린다. 포구 인문학 모임 ‘가름돌듯’이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고무잠수복 보급 이후 사라져가던 불턱의 의미를 되새기기 위한 자리다.
은퇴 해녀와 현직 해녀, 그리고 해녀의 딸이자 국악인 고다경 씨가 함께 해녀노래를 부르고 불턱 음식을 나누며, 바다와 마을이 지켜온 공동체의 방식을 몸으로 되살린다.
앞서 9월에는 해녀박물관에서 ‘숨비소리, 위대한 해녀들의 이야기’를 주제로 제18회 제주해녀축제가 열렸다. 배우 송지효 씨가 현직 해녀들과 함께한 ‘불턱 토크쇼’에서 “해녀 삼촌들이 ‘숨을 참고 저승에서 벌어 이승에서 쓴다’는 말을 했는데, 그 안에 삶의 철학이 녹아 있다”며 “이 위대한 유산을 꾸준히 지켜달라”고 말했다.
한편 비양도에서는 최근 ‘해녀 은퇴식’이 열렸다. 적게는 50년, 많게는 75년 동안 바다를 지켜온 해녀 10명이 은퇴를 맞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