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군청 홈페이지 자유게시판 캡쳐
최근 울릉도가 유튜브 영상을 통해 불친절과 바가지로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경북도가 내년부터 울릉도 방문객에 대한 여객선 운임 지원 범위를 대폭 확대키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경북도는 내년 1월부터 겨울철(1~2월, 12월)에 울릉도를 방문하는 모든 관광객에게 운임의 70% 이내, 울릉도 복무 군장병의 배우자 및 직계혈족 등이 면회를 위해 울릉도를 방문할 경우 울릉군민 수준으로 운임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이는 기존 경북도 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1개월 이상 경과한 도민·외국인이 울릉도·독도를 여행할 때 일반석 운임의 30%를 도비로 지원한 것보다 폭이 대폭 확대된 것이다. 울릉도 관광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차원이다.
이를 위해 경북도의회는 최근 ‘경상북도 도서지역 여객선 운임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의결했다. 경북도의회 남진복 도의원(국민의힘·울릉)이 대표 발의했다.
도는 이 사업을 위해 내년 예산에 16억 4000만원(도비 9억 6400만원, 울릉군비 6억 7600만원)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런 소식이 알려지자 일부 울릉 주민과 관광객들이 반발하고 있다.
관광객 등은 “울릉도의 불친절과 바가지 요금 성행이 개선되지 않은 현실에서 혈세로 배삯 지원에 나서겠다는 것은 야바위꾼의 호객 행위에 불과하며, 관광객들을 우롱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실제로 지난 6일 기준 울릉군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 올라온 전체 게시물 2298건 가운데 13.5%에 해당하는 312건이 울릉도의 높은 물가, 열악한 시설, 불친절, 바가지 요금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파악됐다. 312건 모두 지난 7월 이후 작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남한권 울릉군수가 지난 7월 울릉군청 공식 홈페이지에 입장문을 올리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알려진 관광 서비스와 관련한 전반적인 품질 및 가격 문제 이슈에 대해 깊은 책임감과 함께 심심한 사과의 입장을 밝힌다”고 했으나 실제 사정은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영향 등으로 올들어 지난달 말까지 울릉도를 찾은 관광객은 32만 7917명으로 지난해 동기 36만 669명보다 무려 3만 2752명이나 크게 감소했다.
한편 지난 7월 한 유튜버가 울릉도 여행을 갔다가 절반 이상이 비계인 삼겹살, 에어컨이 고장 난 숙소 등을 경험한 것을 영상으로 올려 ‘바가지 논란’이 일었다. 이어 지난달 24일 울릉군청 자유게시판에는 ‘와…중국 여행 3배 가격’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울릉군청 홈페이지 자유게시판 캡쳐
울릉군청 홈페이지 자유게시판 캡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