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수치 정상·B형 바이러스 많은 환자
항바이러스 치료하자 간암 등 위험 79%↓
AI이미지. 서울신문 DB
만성 B형간염 환자는 간수치(ALT)가 정상이어도 ‘안전한 상태’라고 보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혈액 속 바이러스가 많이 남아 있으면 겉으로 이상이 없어 보여도 간이 계속 손상될 수 있어, 조기 치료가 더 안전하다는 것이다.
14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 따르면 서울아산병원 임영석 교수 연구팀은 한국과 대만 22개 병원에서 간수치는 정상인데 혈중 바이러스량이 높은 만성 B형간염 환자 734명을 4년간 추적했다. 그 결과, 초기에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한 환자는 치료를 미룬 환자보다 간암·간부전·사망 등 중증 합병증 발생률이 79% 낮았다.
연구팀은 “간수치가 정상이라는 이유만으로 치료를 미루는 기존 기준이 일부 환자에게는 맞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경제적 효과도 확인됐다. 항바이러스제를 먼저 쓰면 초기 약제비는 더 들지만, 간암·간부전 같은 고비용 합병증을 예방해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실제 치료율은 낮다. 만성 B형간염은 30~60대에서 유병률이 높고, 간암으로 진행하면 막대한 의료비와 조기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이지만, 국내 환자 중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는 비율은 약 21%에 그친다. 간수치 상승 여부를 중심으로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면서, 치료가 필요한 환자 상당수가 제때 치료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앞으로는 간수치보다 혈중 바이러스량을 중심으로 치료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40대 이상 환자는 조기 치료의 이득이 커 급여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