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 세계유산영향평가 요구
유산청, 서울시에 조정회의 제안市 “유산청, 완충구역 설정 안 해
평가 이행만 요구… 진정성 의심”
국가유산청 제공
고층 건물 들어서면 이런 풍경
세운4구역에 초고층 건물이 들어섰을 때 예상되는 종묘 정전 상월대에서의 경관 가상도.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 제공
세계유산 종묘 앞 재개발 사업을 둘러싸고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유네스코가 “세계유산센터(WHC) 등의 검토가 끝날 때까지 사업 승인이 중지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알려왔다.
허민 국가유산청장은 17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 15일 유네스코가 강력한 조치를 요구하는 공식 외교 문서를 보내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세계유산 관련 모든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세계유산센터가 발송한 문서는 주유네스코 대한민국 대표부를 거쳐 국가유산청에 전달됐다. 국가유산청은 이 문서를 서울시에도 공유했다.
최근 종묘 맞은편 세운 4구역 재개발 사업과 관련한 민원이 접수되자 유네스코가 행동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는 “한국 시민이 자랑스러워하는 종묘의 경관이 위태로워지고 있다”며 세계유산영향평가를 위해 방한해달라는 서한을 유네스코에 발송했다.
허 청장은 “유네스코 측이 세운4구역의 고층 건물 개발로 인해 종묘가 훼손될 것을 우려한다고 문서에 명시하며 세계유산영향평가를 반드시 받도록 권고했다”며 “제삼자 민원이 접수된 상황에서 우리 정부의 의견과 추가 정보를 한 달 내에 회신해달라는 요청도 해왔다”고 설명했다.
유네스코가 문서에 세운2구역도 언급한 것에 대해 허 청장은 “세운4구역 외의 종묘 주변 재개발 구역에 대한 세계유산영향평가 시행 가능성 등 구체적인 부분은 협의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국가유산청은 이날 맞은편에 최고 145m 높이의 건물이 들어섰을 때 종묘의 중심 건물인 정전 상월대, 정문인 외대문 등에서 바라본 하늘을 가상한 모습을 공개하며 서울시, 문화체육관광부 등에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조정 회의 구성을 제안했다.
이에 서울시는 대변인 명의 입장문을 내고 “국가유산청은 시와 9년 넘게 협의하고 13차례 문화유산 심의를 진행하면서도 정작 종묘 보호의 기준선이 되는 완충 구역을 설정하지 않았다”며 “시에만 세계유산영향평가 이행을 반복 요구하는 것은 종묘 보존에 대한 국가유산청의 진정성을 의심케 하는 행태”라고 반발했다.
그러면서도 국가유산청이 제안한 회의 구성에 대해서는 “적극 환영한다”고 했다. 다만 개발 지연으로 피해를 겪은 종로 지역 주민 대표도 참여해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2025-11-1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thumbnail - 전자레인지에 남은 생선 돌리면 안 되는 이유…꼭 먹어야 한다면 ‘이것’ 함께 [라이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1/20/SSC_20251120171736_N2.jpg.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