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를 혼자 여행하던 외국인 여성이 성폭행당한 사건이 발생해 세계적 관광지 제주의 치안이 불안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주동부경찰서는 30일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상 특수강도강간 혐의로 이모(33·경기도 고양)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이씨는 지난 26일 오전 1시 30분께 제주시청 인근에서 혼자 제주에 여행 온 10대 외국인 여성 A씨에 접근, 숙소까지 길을 안내해 주겠다며 함께 걸어가다가 으슥한 공터로 끌고 가 흉기로 A씨를 위협, 현금 60만원을 빼앗고 성폭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
제주시청 인근은 유동인구가 많은 제주시 도심 지역이자 경찰서와도 가까운 곳으로 새벽 시간대에 발생한 일이라고는 하지만 치안 문제를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제주에서는 지난해 7월 올레길을 혼자 걷던 여성 관광객이 동네 남성 주민에 성폭행당한 뒤 살해된 일도 있었다. 이 사건 이후 올레길은 여성 혼자서 걷기에 위험하다는 인식이 생겨 올레길을 혼자 걸으려다 일정을 취소한 여성 관광객들도 있었다.
여성 관광객을 상대로 한 성범죄가 잇따르면서 제주도가 여성이 여행하기 안전하지 않다는 인식을 줘 세계적 관광지로 뻗어나가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올해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사상 처음으로 200만명을 훌쩍 넘었다.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1980년 2만명에서 1990년 23만명, 2000년 28만명, 2005년 37만명, 2010년 77만명에서 2011년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하는 등 최근 들어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지난 11월에는 제주를 찾은 관광객이 사상 처음으로 1천만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세계적인 섬 관광지인 하와이나 오키나와, 발리도 밟아보지 못한 고지다.
제주도는 이제 관광객 1천만명 방문을 넘어 2천만명 시대를 내다보고 있다. 다양한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관광 서비스 질을 높이겠다며 다양한 계획을 그리고 있다.
하지만 외국인 관광객 성폭행사건처럼 관광객을 노린 범죄가 근절되지 않는다면 제주도가 침이 마르도록 자랑하는 ‘관광객 1천만명 달성’과 ‘세계적 관광지 도약’은 한낱 모래 위의 성처럼 한순간에 사라질 수도 있음을 뼈저리게 느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관광객들이 안심하고 여행할 수 있는 수준의 치안을 확보하는 일이 제주도가 세계적 관광지로 뻗어나가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과제라는 것이다.
도민들은 외국인 관광객 성폭행 사건 발생 하루 뒤인 지난 27일 취임한 김덕섭 제주지방경찰청장이 기자간담회에서 관광 치안과 관련해 발언한 내용을 잊지 않고 주목하고 있다.
김 청장은 “관광객이 많이 찾는 제주의 특성상 치안 유지가 중요하다”며 “도민과 관광객이 타인으로부터 위협받지 않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제주경찰청 수사과 관계자는 “연말연시를 맞아 범죄 취약지를 중심으로 형사기동차량이 야간순찰을 하고 부녀자에 밤길 안내도 해주고 있으며 올레길의 경우 해안가는 자전거로, 곶자왈이나 오름은 도보로 주기적으로 순찰하고 있다”며 “안전한 제주를 만들기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제주동부경찰서는 30일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상 특수강도강간 혐의로 이모(33·경기도 고양)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이씨는 지난 26일 오전 1시 30분께 제주시청 인근에서 혼자 제주에 여행 온 10대 외국인 여성 A씨에 접근, 숙소까지 길을 안내해 주겠다며 함께 걸어가다가 으슥한 공터로 끌고 가 흉기로 A씨를 위협, 현금 60만원을 빼앗고 성폭행한 혐의를 받고 있다.
제주시청 인근은 유동인구가 많은 제주시 도심 지역이자 경찰서와도 가까운 곳으로 새벽 시간대에 발생한 일이라고는 하지만 치안 문제를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제주에서는 지난해 7월 올레길을 혼자 걷던 여성 관광객이 동네 남성 주민에 성폭행당한 뒤 살해된 일도 있었다. 이 사건 이후 올레길은 여성 혼자서 걷기에 위험하다는 인식이 생겨 올레길을 혼자 걸으려다 일정을 취소한 여성 관광객들도 있었다.
여성 관광객을 상대로 한 성범죄가 잇따르면서 제주도가 여성이 여행하기 안전하지 않다는 인식을 줘 세계적 관광지로 뻗어나가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올해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사상 처음으로 200만명을 훌쩍 넘었다.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1980년 2만명에서 1990년 23만명, 2000년 28만명, 2005년 37만명, 2010년 77만명에서 2011년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하는 등 최근 들어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지난 11월에는 제주를 찾은 관광객이 사상 처음으로 1천만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세계적인 섬 관광지인 하와이나 오키나와, 발리도 밟아보지 못한 고지다.
제주도는 이제 관광객 1천만명 방문을 넘어 2천만명 시대를 내다보고 있다. 다양한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관광 서비스 질을 높이겠다며 다양한 계획을 그리고 있다.
하지만 외국인 관광객 성폭행사건처럼 관광객을 노린 범죄가 근절되지 않는다면 제주도가 침이 마르도록 자랑하는 ‘관광객 1천만명 달성’과 ‘세계적 관광지 도약’은 한낱 모래 위의 성처럼 한순간에 사라질 수도 있음을 뼈저리게 느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관광객들이 안심하고 여행할 수 있는 수준의 치안을 확보하는 일이 제주도가 세계적 관광지로 뻗어나가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과제라는 것이다.
도민들은 외국인 관광객 성폭행 사건 발생 하루 뒤인 지난 27일 취임한 김덕섭 제주지방경찰청장이 기자간담회에서 관광 치안과 관련해 발언한 내용을 잊지 않고 주목하고 있다.
김 청장은 “관광객이 많이 찾는 제주의 특성상 치안 유지가 중요하다”며 “도민과 관광객이 타인으로부터 위협받지 않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제주경찰청 수사과 관계자는 “연말연시를 맞아 범죄 취약지를 중심으로 형사기동차량이 야간순찰을 하고 부녀자에 밤길 안내도 해주고 있으며 올레길의 경우 해안가는 자전거로, 곶자왈이나 오름은 도보로 주기적으로 순찰하고 있다”며 “안전한 제주를 만들기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