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자 제공=연합뉴스]
출입 통제된 인천지하철 2호선 서부여성회관역
2일 오후 인천시 서구 인천지하철 2호선 서부여성회관역 개찰구에 이용객 출입을 통제하는 테이프가 부착돼 있다. 인천지하철 2호선은 선로전환기 고장으로 이날 오후 2시 23∼42분 27개역 전 구간에서 18개 편성 36량의 전동차 운행이 중단됐다가 오후 4시 25분께 복구작업을 완료하고 운행을 재개했다. 2016.11.2
[독자 제공=연합뉴스]
[독자 제공=연합뉴스]
2일 인천교통공사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23∼42분 27개역 전 구간에서 18개 편성 36량의 전동차 운행이 중단됐다.
공사는 오후 1시 46분쯤 서부여성회관역 인근 선로전환기에서 장애가 발생하자 무인 자동제어시스템으로 운영되는 2호선 운행을 수동 운전으로 전환했다.
그러나 복구작업이 늦어져 후속열차 운행이 연쇄적으로 지연되자 전 구간 운행을 중단했다.
약 20분 뒤 검단오류∼서구청, 주안∼운연역 구간 운행을 재개했지만 가정역∼주안국가산단역 7개 역 구간은 2시간 40분 가량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운행 중단에 따른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고장은 전동차의 운행 방향을 결정하는 선로전환기의 퓨즈가 단선되면서 발생했다.
공사는 퓨즈를 교체하고 복구작업을 한 끝에 오후 4시 25분쯤 모든 구간의 운행을 재개했다.
인천지하철 2호선은 7월 30일 개통 이후 크고 작은 장애로 운행이 자주 중단돼 논란이 되고 있다.
10분 이상 지연 운행된 사례만 개통 첫 달에 11건이었다.
이는 인천지하철 2호선이 시운전 기간이 67일로 유독 짧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김해경전철 135일, 대구지하철 3호선 80일, 용인경전철 90일 등 다른 무인경전철과 비교하면 매우 짧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