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어준 딴지일보 총수가 자신이 진행하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 “여전히 댓글부대가 운영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지금 네이버에 가서 한글로 ‘옵션열기’ 네 글자를 검색해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주진우(왼쪽) 시사IN(인) 기자와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주진우(왼쪽) 시사IN(인) 기자와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 연합뉴스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의 진행자인 김씨는 7일 “여전히 댓글부대가 운영되고 있다는 주장을 반신반의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증거라고 하는 것을 가져왔다”면서 “지금 네이버에 가서 한글로 ‘옵션열기’ 네 글자를 검색어로 입력하고, 메뉴에서 ‘실시간 검색’을 누르면 각종 기사에 달린 댓글 중 ‘옵션열기’라는 단어가 포함된 댓글이 주르륵 나온다”라고 말했다.
김씨는 이어 “이건 다 댓글부대가 쓴 댓글이다. 댓글을 달 때 위에서 지시를 받아 자기 아이디로 카피(복사)를 해서 댓글을 달았는데, 그 앞에 ‘옵션열기’라고하는 내용과 상관없는 걸 가져가 붙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씨는 “바보같이 지시를 받고 카피해서 붙였는데, 맨 앞에 ‘옵션열기’ 글까지 복사한 게 참 많다. 여전히 오늘도 달려 있는 걸 볼 수 있다. 제가 오래전부터 봐 왔다”라면서 “이걸로 몇 가지를 알 수 있다. 댓글 프로그램이 있는 거다”라고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