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중교통 이용건수 27% 감소, 코로나 19영향 탓

지난해 대중교통 이용건수 27% 감소, 코로나 19영향 탓

류찬희 기자
입력 2021-03-23 11:02
수정 2021-03-23 11: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로나 19 영향으로 지난해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자가 전년보다 27% 감소했다. 특히 주말과 공휴일에는 대중교통 이용건수가 작년 대비 36.1% 줄어들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23일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을 이용, 코로나-19 시대의 대중교통 이용실태를 분석·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시내버스, 광역·도시철도를 이용하면서 교통카드를 사용한 전국 67억 2000만건을 대상으로 했다. 하루 평균 교통카드 이용건수는 전국 평균 27% 감소했다. 광주권은 31.5% 감소해 이용량이 가장 많이 줄었고, 대구권은 30.8% 감소했다. 대전권은 29.2%, 수도권은 26.9% 감소했다.

주말·공휴일의 대중교통 이용건수는 주중 감소(23.9%)보다 감소폭이 컸다. 교통수단별 통행량 감소폭은 광역·도시철도 27.5%, 시내버스 26.5%로 나타났다.

대중교통 이용량은 코로나19 확산 변곡점을 따라 세 차례 변화했다. 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1월 20일) 이후 대중교통 이용량이 크게 줄어들기 시작했다. 재택근무와 이동자제 등으로 1월까지 전국 하루 평균 2242만건 대중교통 이용량은 3월에는 1489만건으로 감소했다.

7월까지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으로 근접했던 대중교통 이용 회복세는 이동량 증가 및 ‘8.15 서울도심 집회’ 관련으로 집단감염이 증가하면서 다시 감소세로 전환했다. 8월에는 초순 18.1%(7일) 증가하던 수도권 대중교통 이용량은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300명을 돌파한 20일 이후 감소세가 이어져 31일에는 11.4%까지 줄어들었다.

이후 11월까지 회복세를 보이던 대중교통 이용은 12월부터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된 8일까지는 4.1%의 소폭 감소하다가 확진자 수가 950명을 초과한 11일 이후부터는 급감했다. 크리스마스 주간에는 대중교통 이용량 하락세가 잠시 주춤했으나, 크리스마스 연휴 이후 10.9% 감소했다. ‘5인 이상 모임금지’ 정책, 연말 연휴 영향으로 교통량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