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덮친 500㎜ 폭우… 충남·전북 제방 붕괴에 피해 속출

금강 덮친 500㎜ 폭우… 충남·전북 제방 붕괴에 피해 속출

이천열 기자
이천열 기자
입력 2023-07-17 00:15
수정 2023-07-17 06: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주·논산·익산 등 2000여명 대피
공산성·서천읍성 등 문화재 침수

이미지 확대
사흘째 이어지는 기록적인 폭우로 16일 오전 충남 논산시 성동면 우곤리 인근 금강 제방이 유실됐다. 사진은 금강과 우곤리 마을 사이에 놓인 제방이 무너져내리는 모습. 2023.7.16  논산시 제공
사흘째 이어지는 기록적인 폭우로 16일 오전 충남 논산시 성동면 우곤리 인근 금강 제방이 유실됐다. 사진은 금강과 우곤리 마을 사이에 놓인 제방이 무너져내리는 모습. 2023.7.16 논산시 제공
전례 없는 폭우는 충청도 젖줄인 금강 물을 가득 불려 제방을 무너뜨리고 범람시켜 강 유역 곳곳에서 대규모 피해를 유발했다. 시뻘건 강물은 대청호 방류 물과 대전·세종시에서 쏟아진 빗물이 합쳐져 충남 공주·청양·부여·논산·서천과 전북 익산 등을 지나서 서해로 빠져나갔다.

논산시는 16일 오전 5시 43분쯤 성동면 원봉리 논산천 일부 제방이 무너져 논으로 물이 유입된다는 신고를 받고 마을방송과 안내문자 등을 통해 긴급 주민 대피령을 내렸다.

청양군도 이날 0시 2분쯤 청남면 대흥배수장 인근 주민들에게 ‘제방 붕괴 위기’ 안내 문자를 보내고 긴급 대피하도록 했다.

지난 13일 0시부터 500㎜ 넘게 비가 쏟아진 공주시는 큰 피해를 입었다. 금강과 접한 옥룡동 공산성 일대는 완전히 물에 잠겼다. 지난 15일 남성 1명이 물에 빠져 숨졌다. 강변 누각 ‘만하루’는 지붕만 보였고, 공산성 비탈이 폭우에 깎여 쏟아졌다. 주민들은 공주대 옥룡캠퍼스로 긴급 대피했다.

16일 오전 7시까지 금강 유역에서 공주 622명, 논산 361명, 부여 298명, 청양 272명, 서천 41명이 대피한 것으로 집계됐다. 공주시 공산성·석장리 유적, 부여군 부소산성·왕릉원, 서천군 서천읍성 등 문화재 침수 및 유실도 잇따랐다.

금강 하류에 있는 전북 익산시도 이날 오전 6시 산북천 제방 붕괴 우려가 커지자 신은리 등 용안면 10개 마을 372가구, 주민 631명에게 대피 명령을 내렸다. 충남도 관계자는 “금강 수위가 높아지면서 지천 물이 금강으로 빠지지 못해 지천 일대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졌다”고 전했다.
2023-07-1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