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6월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일자리 상담 창구를 바라보고 있는 시민. 2023. 6. 14. 연합뉴스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고 그저 쉬는 20대 청년이 역대 최고치인 42만명을 돌파했다. 이에 따라 최근 5년간 53조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는 분석이다.
18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이미숙 창원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해 연구한 ‘쉬었음 청년 증가에 따른 경제적 비용 추정’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2019~2023년)간 쉬는 청년의 증가에 따른 비용 손실은 53조 4000억원으로 추정됐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쉬는 청년의 규모는 43만 2000명에서 48만 1000명으로 11.3% 늘었다. 특히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쉬었다는 20대 청년층이 42만 1000명으로, 지난 7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쉬는 청년은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 53만 8000명으로 최고점을 찍었다가 감소했으나, 2023년을 기점으로 다시 증가세를 보인다.
보고서는 “만 15~29세 청년 인구가 같은 기간 지속해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쉬었음’ 청년의 총인구 및 청년 인구 대비 비율은 2023년부터 증가했다”고 했다.
실제 총인구 대비 비율은 0.90%에서 2023년 0.93%로, 청년 인구 대비 비율은 5.21%에서 5.47%로 늘었다.
‘쉬는 청년’ 인구에서 대학교 이상의 고학력자 비중이 늘고 있는 점도 경제적 손실을 키웠다.
대학교 이상 학력의 쉬는 청년은 2019년 15만 9000명에서 2023년 18만 4000명으로 38.9% 증가했다. 전체 쉬는 청년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36.8%에서 38.3%로 1.5%포인트(p) 늘었다.
쉬는 청년의 임금 추정치는 취업 청년의 78.5~85.9%로 나타났다.
취업자 대비 쉬는 청년의 임금 비율이 82.7%를 기록한 2023년을 기준으로 볼 경우, 취업한 청년이 월 217만원을 받는다면, 쉬는 청년은 180만원 수준이다.
보고서는 “쉬는 청년의 예상 소득이 취업자보다는 낮지만 적지 않은 금액”이라며 “높은 소득을 받을 수 있는 청년들이 ‘쉬었음’ 상태에 빠지면서 경제적 비용을 유발한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