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총장선거 중반전’소음’도, ‘관심’도 줄어

서울대 총장선거 중반전’소음’도, ‘관심’도 줄어

입력 2014-04-28 00:00
수정 2014-04-28 07: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내부 무관심에 후보들 선심성 정책도 여전

법인 전환 이후 처음으로 치러지는 서울대 총장 선거전이 중반을 지나고 있다. 이번 선거는 서울대의 첫 간선제인데다 다른 국립대학의 선례가 된다는 점에서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 서울대에 따르면 지난 2월 총장추천위원회(총추위)가 꾸려지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총장 선출 일정은 이달 중 교내 일정이 마무리된다. 그러고 나면 공은 이사회로 넘어간다. 이달 30일 총추위가 총장 후보자를 3명으로 압축하면 6월 법인 이사회에서 한 명을 선정, 교육부에 제청한다.

지금까지 교내에서 진행된 총장 선거전은 전반적으로 ‘조용한 선거’였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직선제 시절 후보자들이 교수들을 만나고 다니며 ‘세력 불리기’에 힘쓰거나 단과대, 고교 동문 등 중심으로 지지층 결집에 나섰던 것에 비하면 진일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지 세력 결집보다는 후보들이 직접 밝힌 정책과 비전 등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장(場)이 마련됐다는 것이다.

과거 전 교직원이 1인 1표를 행사했던 것과는 달리 전반적인 총장 선출 과정은 총추위가 주도한다.

교직원의 의견은 제한적이어서 후보자들이 평교수들을 일일이 만날 필요성이 줄었다.

총추위도 후보들의 홍보 활동을 규제하고 있다. 전체 교직원에게 보내는 이메일 횟수를 2회로 제한하고 개별 방문이나 모임 등을 금지했다.

그러나 후보 간 정책 차별성 부족 등은 한계로 지적된다.

후보들의 정책은 ▲ 교직원들의 복지 개선 ▲ 캠퍼스 난개발 해소 ▲ 학내 자율성 확충 ▲ 기금 확보 등에 집중됐다.

학생 장학금 확충, 학생 인권 및 교육 환경 등에 관한 고민은 뒷전으로 밀렸다. 국내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는 고등교육기관의 수장에게 기대할만한 교육 비전은 찾아보기 어렵다는 실망감도 나오고 있다.

한 교수는 “서울대는 국립대학법인으로서 교수와 직원, 학생뿐만 아니라 동문과 국민까지 구성원이라 볼 수 있다”며 “내외부의 요구에 대한 성찰, 장기적으로 대학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찾아볼 수 없어 아쉽다”고 말했다.

복잡한 규정도 선거에 대한 무관심을 불러오는 요소 중 하나다.

이번 선거는 12명의 후보자 가운데 5명→3명→1명으로 추리는 3단계 과정을 거친다. 단계마다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주체도, 결정방법도 매번 달라진다.

교수들 사이에서조차 “규정과 절차가 너무 복잡하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새 총장은 구성원으로부터 정당성을 확보하는 일이 급선무다. 총추위와 이사회의 손을 거쳐 뽑힌 새 총장에게 구성원이 얼마나 신뢰를 보낼 수 있을지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근식 평의원회 의장은 “이번 선거가 과도하게 정치화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차분하게 진행된 것이 가장 큰 소득이라고 본다”며 “본질적으로 낮아진 교직원의 참여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가 과제”라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