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교육 현장 반응은
정부가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방침을 사실상 확정한 것으로 알려지자 일선 교육 현장에서는 환영보다 우려의 목소리가 훨씬 강하게 나왔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정부가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전환을 사실상 확정한 가운데 진보와 보수 진영의 주장이 한층 강하게 분출되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진보 진영 시민사회단체가 모여 만든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 네트워크’ 회원이 8일 교육부 국정감사가 열리고 있는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국정교과서 반대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정부가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전환을 사실상 확정한 가운데 진보와 보수 진영의 주장이 한층 강하게 분출되고 있다. 재향군인회 등 보수 성향 시민사회단체들은 8일 서울 광화문 원표공원에서 국정교과서 찬성 집회를 가졌다.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강성남 선임기자 snk@seoul.co.kr
이어 “암기만 강조되면 역사교육의 또 다른 측면인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측면이 무시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우현진 서울 역삼중 역사교사는 “교과서를 국사편찬위원회에서 만들든 다른 데서 만들든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많이 반영하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대입 시험을 치러야 하는 수험생 처지에서는 교육 과정과 역사 용어가 통일되면 혼란이 줄어든다는 점만큼은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상당수였다.
서울 강남구의 고등학교에 다니는 1·3학년 두 딸을 둔 서현수씨는 “입시 위주의 교육을 시킬 수밖에 없는 측면도 있지만, 상식선에서 올바르고 다양한 교육을 시키고 싶다”고 말했다.
국정화 채택에 찬성하는 입장도 있다. 서울 서초구의 한 교장은 “국가가 국정화를 선택하는 데 있어 굳이 반대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며 “현재 아이들에게 중구난방 격으로 서술된 혼란스러운 역사관을 가르치기보다는 인증된 단일 교과서로 정확한 사실을 알려 주는 게 더 중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5-10-09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