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생 1년 새 17만명 급감…다문화학생은 10만명 첫 돌파

초·중·고생 1년 새 17만명 급감…다문화학생은 10만명 첫 돌파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7-08-31 22:56
수정 2017-09-01 02: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교육부, 전국 학생·교원 현황 조사

유치원 교원 1.7% 늘었지만 중·고는 각 0.4%·0.5% 줄어
초·중·고등학생 수가 한 해 사이 17만명가량 줄었지만, 다문화 학생수는 꾸준히 늘어 올해 처음 10만명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수는 점차 늘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는 여전히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올해 4월 1일 기준 전국 2만여개 유·초·중등·고등교육기관의 학생·교원 현황 등을 조사한 교육기본통계를 31일 발표했다.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전체 학생수는 646만 8629명으로 전년 대비 16만 7155명(2.5%) 감소했다. 중학생은 5.2%(7만 6156명)로 가장 큰 폭으로 줄었고, 초등학생은 0.1%(1384명) 늘었다.

2010년 329만 9094명에 이르렀던 초등학생 수는 지난해까지 꾸준히 떨어지다가 올해 반짝 증가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2010년 백호랑이띠 해에 출생아가 많았는데, 이 아이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초등학생 수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초등학교 다문화학생 11.8% 급증

초·중·고교 다문화 학생수는 전년 대비 10.3%(1만 201명) 급증한 10만 9387명을 기록했다. 전체 학생의 1.9%로, 2012년 조사를 시작한 이후 꾸준히 늘어 올해 처음 10만명을 넘어섰다. 특히 초등학교 다문화 학생 비율은 한 해 사이 무려 11.8% 급증했다.

학생은 줄었지만 유치원~고등학교 교원 수는 49만 2187명으로 전년 대비 1035명(0.2%) 증가했다. 유치원 교원이 5만 3808명으로 1.7%(885명), 초등학교 교원도 18만 4358명으로 0.5%(906명) 늘었다. 누리과정 도입에 따라 유아교육이 확대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원 비율은 각 0.4%(395명)와 0.5%(673명) 떨어졌다.

●교원 1인당 학생수 OECD 못 미쳐

교원 1인당 학생수는 줄었지만 OECD 평균에는 못 미친다. 주로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 1인당 학생수는 초등학교가 16.4명, 중학교가 14.0명, 고등학교가 13.2명이다. 2014년 기준 OECD 평균 교사 1인당 학생수는 초·중·고교가 각 15.1명과 13.0명, 13.3명이다.

학급당 학생수도 초등학교 22.3명, 중학교 26.4명, 고등학교 28.2명으로 전년 대비 모두 감소했다. 고등학교의 경우 한 해 사이 1.1명이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고, 중학교는 1.0명, 초등학교는 0.1명 줄었다. 2016년 초·중·고교에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은 4만 7663명(0.8%)이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7-09-0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