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먹 대신 말로 때렸다… 중·고 학생선수 언어폭력 두 자릿수 폭증

주먹 대신 말로 때렸다… 중·고 학생선수 언어폭력 두 자릿수 폭증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1-11-01 21:00
수정 2021-11-02 06: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면훈련 줄어 전체 피해도 줄었지만
언어폭력 비중 42.7%→51.7%로 늘어
중학교 15%P·고등학교 17.4%P 증가
교육부, 이달 중 가해자 처벌·징계 조치

최근 1년 사이 학생 운동선수 351명이 폭력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폭력이 줄어든 대신 언어폭력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이 같은 경향은 초등학교보다 중·고등학교에서 뚜렷했다.

교육부는 1일 제22차 교육신뢰회복추진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21년 학생 선수 폭력피해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고 최숙현 선수 사건을 계기로 지난해 7월 학생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한 폭력 피해 전수조사를 벌인 데 이어 올해부터 정례화해 지난 7월 26일부터 한 달간 실시했다.

조사에는 초·중·고등학교 학생선수 6만 1911명 중 5만 4919명(88.7%)이 참여해 이중 351명(0.63%)이 지난 1년간 폭력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이는 2020년 실태조사의 응답률 1.2%(680명)보다 줄어든 것이다.

폭력 피해 응답률이 감소한 데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해 조사에서는 ‘지금까지 겪었던 피해’를 응답하도록 한 반면 올해 조사는 ‘지난 1년간의 피해’를 응답하도록 했다”면서 “코로나19로 학생들의 대면 훈련과 합숙이 줄어든 점도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피해 유형은 언어폭력 비중이 42.7%에서 51.7%로 증가해 신체폭력(47.9%→30.3%)을 뛰어넘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언어폭력은 중학교에서 15%포인트 증가한 52.3% 고등학교에서 17.4%포인트 증가한 55.1%로 중·고등학교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교육부는 가해 학생선수 및 지도자에 대한 형사처벌과 징계 등 조치를 이달 중 완료할 예정이다. 또 2023학년도부터 심각한 폭력을 저지른 가해 선수는 중·고등학교 체육특기자로 선발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2021-11-0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