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학대 정원 내 수시 경쟁률 9.69대 1···반도체·인공지능 경쟁률 2배↑

한국공학대 정원 내 수시 경쟁률 9.69대 1···반도체·인공지능 경쟁률 2배↑

안승순 기자
입력 2025-09-19 13:25
수정 2025-09-19 13: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한국공학대학교 전경
한국공학대학교 전경


한국공학대학교가 2026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역대 최고 수준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정원 내 960명 모집에 9,307명이 지원해 평균 9.6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는데, 전년도 8.35대 1보다 크게 오른 수치다.

정원 외 전형까지 포함한 전체 경쟁률도 총 1,156명 모집에 10,284명이 지원해 8.90대 1을 기록해 전년 대비 1,384명이 늘었다.

인공지능학과는 학생부종합(창의인재) 전형에서 32.25대 1로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고, 논술우수자 전형의 기계공학과가 21대 1로 뒤를 이었다.

주요 전형 별 경쟁률도 고르게 상승했다. 학생부종합(융합인재) 전형은 15.09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논술우수자 전형은 12.18대 1로 나타났다.

또한, 무전공으로 입학해 1학년 동안 다양한 학문을 탐색한 뒤 2학년 진급 시 전공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자유전공학부도 13.70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인공지능학과는 수시 전체의 경쟁률은 지난해 7.5대 1에서 올해 14.1대 1로 껑충 뛰어올라 약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반도체시스템전공도 지난해 6.4대 1에서 올해 13대 1로 두 배 이상 경쟁률이 올랐다.

서종현 입학홍보처장은 “반도체와 인공지능은 국가 전략산업의 핵심 분야”라며 “산학협력 기반의 현장 실무형 특화 교육이 경쟁률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