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대륙 빙붕 녹는 속도 빨라져…18년간 18% 줄어”

“남극대륙 빙붕 녹는 속도 빨라져…18년간 18% 줄어”

입력 2015-03-27 16:11
수정 2015-03-27 16: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극 대륙 주변에 떠있는 얼음이 18년간 근 20% 작아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AFP 통신이 과학저널 사이언스 최신호(26일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같은 현상은 남극 대륙을 덮고 있는 빙하의 영구적 붕괴를 막는 방벽이 고갈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는 1994∼2012년 유럽우주국(ESA)이 위성 관측으로 얻은 결과로서 남극이 기후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준다.

얼음 방벽은 평균 400∼500m 두께를 갖고 있으며 남극 해안으로부터 수 백㎞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이 얼음이 너무 얇아지면 영구 빙하가 바다로 미끄러져 들어가 녹을 수 있으며 결국 해수면의 급격한 상승을 부를 수 있다.

연구진은 남극 얼음의 전체 부피가 1994∼2003년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나 그 이후 녹는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진 점을 발견했다.

연구에 참여한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의 페르난도 파올로 연구원은 “18년 동안에 (얼음이) 18%나 줄어든 것은 정말 상당한 변화”라면서 “전반적으로 총빙상량이 줄어든 것뿐 아니라 마지막 10년 동안 그 같은 현상이 가속화된 것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 계산에 따르면 얼음 두께가 계속 얇아질 경우 바다를 덮은 빙붕의 절반 정도가 향후 200년 사이에 사라질 수 있다.

BBC 방송은 “남극 대륙 가장자리에 떠있는 얼음 밑으로 따뜻한 물이 흘러와 아래서부터 얼음을 녹이는 것 같다”면서 “이 따뜻한 물은 남빙양에서 강한 서풍이 불어 남극쪽으로 흘러드는 듯 하다”고 전했다.

앞서 2014년 발표된 두 편의 연구에 따르면 해수면을 최소 1m 높일 정도의 물을 품고 있는 남극 서부의 빙하가 녹을 경우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고 융해 현상 자체도 되돌이킬 수 없게 될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