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 우울증 환자 급증세 대가족 생각해 볼때

[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 우울증 환자 급증세 대가족 생각해 볼때

입력 2010-12-27 00:00
수정 2010-12-2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갈수록 우울증 발현율이 높아집니다. 우울증이 무슨 바이러스로 퍼지는 것도 아닌데 왜 예전보다 환자가 많아질까요. 이에 대해 의학자들이 내놓은 답은 현대인의 소외와 스트레스 그리고 전통적인 대가족제도의 붕괴입니다. 산업화로 우리가 잃은 것 중에 가장 안타까운 상실이 바로 대가족제도 아닐까요. 물론 불가피한 면이 없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안타까운 것이 사실입니다.

대가족제도가 해체되자 많은 사람들이 단출하고 홀가분해서 좋다고들 했지만 그 좋다는 게 사실은 족쇄였음을 나중에야 깨닫습니다. 예전 같으면 한 집안에서 안달복달 지지고 볶으며 살았을 가족들이 뿔뿔이 흩어져 모두들 ‘제 팔 제가 흔들며’ 살아들 갑니다. 간섭없이 사니 좋다고들 했지만 그것은 소외와 단절의 다른 형태일 뿐이었습니다. 이 대목에서 우울증 문제가 불거집니다. 대가족이 한 울타리 안에서 북적거리며 살 때는 우울증 인자를 가진 사람이라도 평생 그런 거 모르고 살았습니다. 그런데 제각각 살다 보니 이게 걸핏하면 발현돼 병증으로 나타납니다. 말 붙일 사람도, 말 걸어 주는 사람도 없는 소외와 단절의 병인 셈이지요.

사람들, 겉으로야 재밌게들 잘사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직장에서의 피 말리는 경쟁, 가족들의 허허로운 홀로서기와 단절, 이런 가운데 묵언으로 이어지는 내면의 고통은 사람들의 가슴에서 돌처럼 굳어져 갑니다. 그 고독의 고통이 오죽했으면 우울증이 됐겠습니까.

그러니 그럴 수 있다면 지금쯤 대가족을 다시 일구는 문제를 생각해 볼 때입니다. 물론 개별적인 선택의 문제지만 그래서 얻는 게 많을 것 같아서 하는 말입니다.

jeshim@seoul.co.kr

2010-12-27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