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건강 딜레마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건강 딜레마

입력 2012-05-28 00:00
수정 2012-05-2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람들이 깊이 생각하지 않아서 그렇지 건강을 둘러싼 전문의들의 충고나 조언을 듣다 보면 의아한 대목이 적지 않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자외선입니다. 피부과 전문의들은 자외선으로 인한 피해를 강조합니다. 기미, 주근깨는 물론 피부암 우려까지 거론합니다. 그 말이 절대 틀리지 않습니다. 그러나 100% 맞는 말도 아닙니다. 햇볕의 은총 속에서 생명을 이어가는 게 어디 사람뿐이겠습니까. 지렁이나 두더쥐처럼 한사코 축축한 음지로만 숨어드는 미물도 기실은 햇볕 없으면 살아남을 수 없습니다. 사람도 그렇습니다. 만약 누군가가 햇볕과 완전히 차단된 방 속에 갇혀 있다면 며칠이나 견딜 수 있을까요. 그런 점에서 피부과 의사들이 자외선을 피하라고 경고하는 건 자외선의 부작용이나 폐해에 중점을 둔 조언이지 자외선을 필요악으로 규정하는 게 아님이 분명합니다.

그런가 하면 내분비내과, 정신과 전문의 등은 햇볕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현대인들이 지나치게 햇볕을 피해 특정 비타민 합성에 문제가 생기는가 하면 예기치 않은 병, 즉 우울증 등을 얻을 수도 있다는 겁니다. 역시 틀린 말이 아닙니다. 햇볕이 인간의 몸과 마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간과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들 역시 자신의 관점에서 말하고 있을 뿐입니다. 그런 점에서는 이들의 말이나 피부과 등에서 햇볕을 피하라는 말은 큰 틀에서 다른 듯 같은 말입니다.

중요한 것은 ‘적정성’입니다. 피부과 의사들이 자외선을 피하라고 강조하지만 그 말을 액면대로 믿고 방 안에만 은거할 사람이 어딨겠으며, 다른 쪽에서 햇볕에 노출되면 건강에 좋단다고 한여름 땡볕 속에서 웃통 벗고 나댈 사람이 또 어딨겠습니까. 사람의 일이라는 게 자로 재듯 선을 긋지 않아도 적정치를 수렴하는 ‘상식’이 작동하게 마련입니다. 그래서 바쁘게 살아 얼굴이 허여멀건한 사람이 때론 햇볕을 받으며 기꺼워하고, 바깥일 하느라 살갗이 새까맣게 탄 사람이 선글라스를 챙겨 쓰는 것이겠지요. 얼핏 딜레마 같은 일도 찬찬히 짚어 보면 대개 답이 있습니다. 정답은 스스로 균형을 맞춰 가는 ‘상식적 감각’이지요.

jeshim@seoul.co.kr

2012-05-2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