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지방간 환자에 보양식은 毒

대사증후군·지방간 환자에 보양식은 毒

입력 2012-07-16 00:00
수정 2012-07-16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초복인 18일부터 본격적인 삼복더위로 접어든다. 이 무렵이면 많은 사람들이 보신탕·삼계탕 등 보양식을 먹으며 더위에 지친 심신을 추스른다. 하지만 영양 과잉이 문제인 사람들에게는 이런 보양식이 독이 될 수도 있다. 특히 복부비만을 가진 대사증후군 환자나 지방간으로 만성피로를 느끼는 환자라면 보양식을 탐닉해서는 안 된다. 이보다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제철 과일과 채소가 기력 회복과 건강에 훨씬 좋다.

복날을 전후해 보양식을 찾는 이유는 고갈된 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해서다. 무더운 여름에는 땀을 많이 흘리고, 활동량도 많아 체력과 면역력이 고갈되기 쉽다. 이 때문에 입맛을 잃는가 하면 냉방병이나 여름감기·만성피로 등에 쉽게 노출되는데, 이런 사람들에게 삼계탕·보신탕·장어요리 등 고열량·고단백식품이 도움이 되는 것이 사실. 그러나 평소 영양 과잉과 운동부족이 고민인 사람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고도일병원 만성피로센터 이동환 원장은 “육류 보양식은 배곯던 시절에 주로 먹었지만 요즘처럼 열량 섭취가 과잉 상태인 현대인에게는 불필요하다.”면서 “이들 식품은 비만, 고지혈증 등이 있는 대사증후군 환자에게 해로워 특히 경계해야 할 음식”이라고 말했다.

전문의들은 보양을 위해서는 “육류보다 다양한 색깔의 제철 채소와 과일을 고루 먹고, 단백질은 콩이나 두부로 보충하거나, 살코기 위주의 육류를 적당량 섭취하는 게 가장 좋은 보양식”이라고 말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07-1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