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조명 강한 지역에 유방암 환자 많다

야간조명 강한 지역에 유방암 환자 많다

입력 2014-05-09 00:00
수정 2014-05-09 11: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대의대 연구팀 ‘빛 공해’ 영향 분석…인지기능에도 부정적

야간조명이 강한 지역 주민들의 유방암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등 밤 시간 ‘빛 공해’가 여러가지 측면에서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려대의대가 9일 한국조명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빛 공해 건강영향 연구에 따르면 전국 각 지역 유방암 유병률과 빛 공해 수준을 조사한 결과, 야간조명이 유방암 증가 요인으로 지목됐다.

이은일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지나치게 밝은 빛이 생체리듬을 교란해 호르몬 변화를 일으키고, 이 때문에 유방암이 늘어난다는 기존 이스라엘의 선행 연구 결과가 우리나라에서도 확인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연구팀은 야간조명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성인 남성 23명을 세 그룹으로 나눠 빛 공해(밝기 5lux·10lux)가 있는 두 개 방과 빛이 없는 방에서 재운 뒤 다음날 fMRI(기능적 자기공명영상)로 뇌를 촬영했다. 그 결과 노출된 빛의 양이 많을수록, 인지기능을 나타나내는 뇌 활성도가 낮았다.

이 밖에 야간 조명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는 반면 눈의 피로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빛 공해의 부정적 영향에도 불구, 사람들은 위험을 제대로 깨닫지 못하고 있었다. 20대이상 남녀 성인 1천96명 가운데 절반 정도(45.3%)는 2013년 제정된 빛공해 방지법에 대해 “전혀 모른다”고 답했고, 빛 공해의 주요 영향으로도 건강 피해 보다는 ‘에너지 손실’, ‘눈부심에 따른 운전자·보행자 위험’ 등을 먼저 꼽았다.

이은일 교수는 “우리나라 빛 공해 조도(밝기) 기준이 주거지역의 경우 10룩스(lux)인데, 5lux에서도 수면장애 등 건강 피해가 나타나는만큼 기준을 강화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