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신 마비 환자, 세포 이식 후 다시 걷게 돼

하반신 마비 환자, 세포 이식 후 다시 걷게 돼

입력 2014-10-21 00:00
수정 2014-10-21 13: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국 언론 “세계 첫 사례…마비 환자 치료에 돌파구”

부상으로 하반신이 마비된 불가리아 남성이 코에서 떼어낸 신경지지세포 이식을 통해 다시 걸을 수 있게 됐다고 영국 BBC 등이 21일 (현지시간)이 보도했다.

이는 심각한 척수손상에서 회복된 첫 사례로, 신체마비 장애 치료에 돌파구가 마련됐다고 외신들은 의미를 부여했다.

파웰 타바코프 박사가 이끄는 폴란드 브로츠와프 의대 의료진은 지난 2010년 등을 칼로 찔려 하반신이 마비된 다렉 피디카(40)의 코에서 떼낸 후각초성화세포(OEC)를 피디카의 척수에 이식했다.

이 시술은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신경학연구소의 조프리 라이스먼 박사가 개발한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OEC는 후각 시스템의 신경섬유가 계속해서 재생될 수 있는 경로 역할을 하는 세포다. 코의 신경세포는 계속해서 손상되고 재생되는데 이 과정에서 OEC가 신경 섬유가 다시 자랄 수 있도록 하는 길을 열어준다.

연구진은 이 점을 이용해 OEC가 척수에서도 손상된 신경섬유의 재생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연구진은 피디카의 코에서 떼낸 OEC를 배양한 뒤 2주 후 칼에 찔린 척수의 상처 부위 위와 아래쪽에 주입했다.

손상된 척수 부위에는 8mm의 간격이 있었지만 OEC를 이식한 뒤 양쪽에서 신경섬유가 자라면서 양쪽이 연결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시술 후 피디카는 양쪽 다리에 감각이 돌아와 보조기를 이용해 돌아다니고 운전을 포함해 사고 이전의 생활 대부분을 계속할 수 있게 됐다.

라이스먼 박사는 “이 시술이 더욱 발전하면 현재 가망이 없는 척수손상 장애인들에게 돌파구가 될 것”이라면서 앞으로 자금이 더 모인다면 3∼5년 안에 폴란드에서 최소 3명의 환자에게 시술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와 시술은 니콜스 척수손상재단(NSIF)과 영국 줄기세포재단의 자금 지원으로 이뤄졌다.

NSIF는 지난 2003년 자신의 아들이 사고로 마비된 요리사 데이비드 니콜스가 설립한 재단으로, 그동안 연구에 100만파운드(17억원)를, 이번 수술에는 24만파운드(약 4억800만원)를 각각 지원했다.

NSIF의 설립자 데이비드 니콜스는 “(신체) 마비 치료법을 찾을 수 있도록 전 세계 다른 연구진과 함께 이번 중요한 진전에 관련된 과학적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세포 이식’에 실렸으며 영국 BBC는 이날 저녁 피디카의 1년간 재활 과정을 담은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