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방금 들어온 뉴스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입력 2014-11-24 00:00
수정 2014-11-2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다섯 살 넘어서도 오줌 싸면 병

두세 살짜리가 밤에 오줌을 싸는 건 지극히 정상적이지만 다섯 살 넘어서도 그렇다면 병으로 봐야 한다. 자는 동안 소변이 무의식적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야뇨증이라고 하는데, 세계적으로 5세의 15%가 야뇨증을 앓는다.

야뇨증은 항이뇨호르몬(ADH)의 이상작용 때문에 생긴다. 소변을 농축하고 체내 수분량을 조절하는 이 호르몬은 낮과 밤의 분비량이 다르다. 정상 어린이는 야간에 혈액 내 항이뇨호르몬 증가로 소변이 적게 생겨 밤에 숙면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야뇨증일 땐 항이뇨호르몬이 밤에 증가하지 않아 낮과 비슷하게 소변이 많아진다. 소변이 방광에 어느 정도 차면 잠든 상태에서도 오줌을 싸게 된다. 야뇨증 어린이는 방광 크기가 작다는 말도 있지만 연구 결과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뇨증은 심리적인 위축감을 부른다. 한창 교우관계를 넓히고 자아를 발달시킬 시기에 발생하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로 번질 수 있다. 항이뇨호르몬 제제를 써 치료하며, 잠옷에 경보기를 부착해 오줌을 싸면 울려 잠에서 깨게 하는 행동요법도 적용한다. 이를 반복하면 방광에 소변이 찼을 때 스스로 일어나 소변을 보는 습관을 익힐 수 있다.

●뻐드렁니, 잇몸병 조심

잇몸병은 특정 세균에 의해 잇몸에 염증이 발생해 잇몸 조직이 파괴되는 질병이다. 연한 조직에만 염증이 생겼다면 스케일링으로 치료하면 되지만 잇몸 뼈까지 파괴되면 치료를 받아도 원래의 잇몸 상태를 되찾을 수 없다. 너무 심하면 이를 빼야 한다. 잇몸병은 대개 증상 없이 진행되지만 간혹 칫솔질할 때 잇몸에 피가 나고, 이가 들떠 단단한 음식을 씹기 어렵거나 잇몸이 반복해서 부었다가 가라앉는 증상도 보인다. 이 사이가 벌어져 음식물이 끼거나 앞니가 점점 뻐드렁니가 되면 곧장 치과를 찾아야 한다. 잇몸병은 보통 35세 이후 서서히 진행되는데 유전적 요인을 가진 경우엔 사춘기부터 잇몸 뼈가 파괴돼 심하면 20~30대에 많은 이를 뽑아야 할 지경에 이른다.

■도움말 서울아산병원 비뇨기과 김건석 교수, 치과 김원경 교수
2014-11-2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