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51> 달래·냉이로 봄 입맛 돋워 보자

[탈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51> 달래·냉이로 봄 입맛 돋워 보자

입력 2015-04-05 17:46
수정 2015-04-06 01: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요즘처럼 춘곤증으로 나른하고 기운이 없을 때는 향긋하고 신선한 봄나물만 한 것이 없다. 이른 봄 가장 먼저 채취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달래다. 동의보감은 달래에 대해 ‘성질이 따뜻하고 비장과 신장에 작용해 소화를 돕는다’고 소개하고 있다. 음양오행으로 볼 때 비장은 흙에 속하며 흙은 싹을 틔운다. 토양이 좋아야 싹이 잘 트고 열매가 잘 열리듯 비장이 튼튼해야 소화가 빠르고 영양분이 잘 흡수된다.

달래에는 칼슘과 비타민C가 풍부하게 들어 있다. 성질이 따뜻해 소화를 돕고 생리통이나 생리 불순에도 효과적이다. 또 톡 쏘는 쌉싸래한 맛과 매운맛이 있어 입맛 돋우는 데 제격이다.

달래는 찌개에 넣어 먹거나 무쳐 먹어도 좋다. 날것으로 무쳐 먹을 때 식초를 조금 넣으면 비타민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달래의 매운맛은 달래 머리가 클수록 강하다. 적당한 매운맛은 입맛을 돌게 하지만 지나치게 매우면 체내의 열기가 상승해 눈이 아프거나 열감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결막염이나 안구건조증 등이 있는 사람은 적게 먹는 게 좋다.

봄나물의 또 다른 대표주자는 냉이다. 냉이를 먹으면 간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돼 피로가 사라지고 눈이 맑아진다. 냉이에는 비타민 A, B1, B2, C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특히 비타민 A와 B1이 많아 춘곤증의 피로를 씻는 데 안성맞춤이다. 냉이는 주로 국에 넣어 향을 느끼며 먹지만, 살짝 데쳐서 나물로 먹어도 좋다.

2015-04-0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