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입력 2015-05-10 17:48
수정 2015-05-11 01: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빈뇨 있을 땐 3~4시간 참았다 화장실 가야

하루에 8회 이상 소변을 자주 보는 빈뇨,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요의를 느끼는 절박뇨, 소변을 참을 수 없어 지리게 되는 절박성 요실금 등의 질환을 과민성 방광증후군이라 한다. 즉 방광이 과민해지는 것이다. 과민성 방광증후군 환자는 외출이 어려워 삶의 질이 저하된다. 최근 대한배뇨장애 및 요실금학회에서 전국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17.4%가 빈뇨를, 19.1%가 절박뇨를, 8.2%가 절박성요실금을 갖고 있었다.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뇌종양, 척수질환 등의 신경계 질환, 방광이나 요도의 국소적인 자극, 방광출구폐색 등이 주원인이지만, 이유를 알 수 없는 특발성인 경우도 많다. 분만으로 골반근육이 약해져 불안정한 방광 수축을 억제하지 못해 과민성 방광증후군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방광 질환을 예방하려면 무엇보다 올바른 배뇨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즉 빈뇨가 있는 경우 소변이 마렵다고 무조건 화장실에 가는 것보다는 참았다가 3~4시간 간격으로 가도록 한다.

●비타민·관절 보조제 소화불량 유발할 수도

소화불량의 원인은 음식에만 있는 게 아니다. 약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대표적인 약으로는 소염진통제, 항생제, 스테로이드, 당뇨병약, 골다공증약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약제 외에 비타민, 관절 보조제, 각종 영양제도 개인에 따라 소화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또 아무리 위장에 좋은 음식이라도 과식하면 효과가 없다. 이를테면 양배추 즙이 위장에 좋다며 너무 많이 복용하면 오히려 소화불량이 지속된다. 소화불량 환자는 커피를 무조건 피하는 경향이 있는데, 얼마나 마시느냐에 따라 소화불량 증상이 안 나타날 수도 있어 개개인의 정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 식사를 급하게 하는 사람이 많은데, 천천히 먹는 습관을 들이고 과식·야식·폭식은 피해야 한다. 우울증이나 스트레스도 소화불량의 중요한 원인이다. 환자 가운데는 각종 검사를 먼저 시행해 중증 질환들을 배제한 후 정신의학과와 협진해 진료하는 경우가 많다. 소화불량은 없애기 어려운 증상이지만, 한편으로는 환자의 노력과 적절한 약제 사용으로 상당히 호전될 수 있는 증상이기도 하다.

■도움말 서울아산병원 비뇨기과 김청수 교수

소화기내과 이정훈 교수
2015-05-1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