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식 에스디바이오센서 대표
“메르스 사태가 이쯤에서 끝나면 다행이지만 중동 지역 국가들과 교류를 지속하는 한 해마다 되풀이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을 수가 없습니다.”
조영식 에스디바이오센서 대표
이에 앞서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자회사인 바이오노트는 고려대 약대 송대섭 교수와 공동으로 낙타 등 동물의 콧물이나 가래 등을 이용해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키트를 개발,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등에 정식 수출하고 있다.
조 대표와 회사 연구팀은 이 기술을 토대로 동물용 메르스 진단 키트를 인체에 적용하는 첫 실험에 도전하고 있는 것이다. 감염 의심자의 가래를 채취, 시약 용액에 혼합한 후 검사지를 꽂아 두면 신속하게 메르스 감염 양성, 음성을 판별해 낼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2003년 2500여명의 사망자를 낸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신속 진단 키트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것을 비롯해 조류인플루엔자(AI), 신종플루, 에볼라 바이러스 신속 진단 키트를 개발하는 등 이 분야의 독보적인 기술을 갖고 있다.
올해 초 인체용 메르스 진단 키트 개발에 성공했으며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메르스 환자 21명에 대해 임상을 진행한 결과 PCR 결과와 100%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 대표는 “만일 메르스 신속 진단 키트가 좀 더 일찍 개발돼 평택성모병원 등 일반 병원에 배포됐다면 사태가 이 지경까지 이르지는 않았을 것”이라면서 “인체용 메르스 진단 키트가 빠르게 도입된다면 국내에 확산되고 있는 메르스 확진 환자와 감염 의심자에 대해 지금보다 빠르게 진단하고 후속 조치를 내림으로써 메르스 확산 방지에 적지 않은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5-06-1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