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진 밀착도검사 제도화 안 돼… 위험 노출 여전
똑같은 보건용 마스크라도 착용 방법에 따라 바이러스와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효과가 두 배가량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메르스 등 바이러스 감염 위험이 많은 의료진에 대해서는 올바른 마스크 착용을 위한 ‘밀착도 검사’와 교육이 의무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메르스 확진 환자 182명 중 마스크와 방호복을 착용하고도 감염된 의료진은 전체의 11%(20명)에 이른다.정부가 착용을 권장하고 있는 N95 마스크는 필터를 통해 미세입자 95%만을 걸러주기 때문에 마스크만으로 완벽하게 외부 바이러스를 차단할 수는 없다. 한돈희 인제대 보건안전공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대부분 성인 남성을 기준으로 제조된 마스크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며 “마스크를 두 손으로 압박하고 숨을 쉬는 방식으로 스스로 공기가 새는 공간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진의 올바른 마스크 착용을 위한 마스크 밀착도 검사는 대다수 국가에서는 법제화돼 있다. 미국은 1969년부터 호흡기보호법을 통해 의료진은 1년에 한 번 이상 마스크 밀착도 검사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캐나다와 호주, 뉴질랜드 등도 강제 규정으로 명시하고 있고, 메르스 발병국인 사우디아라비아도 의료 종사자의 마스크 밀착도 검사 지침을 명시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산업안전보건기준 601조에 ‘고효율 호흡보호구 착용만 권장’하고 있을 뿐이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5-07-01 9면